earticle

논문검색

조선후기 궁중 공연공간의 소통적 역할

원문정보

Communicative Role of Performance Space in Royal Palace in the later Joseon

이명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mmunicative Role of Performance Space in Royal Palace in the later Joseon. Under this study, it has taken a look at how the culture of royal palace that was tightly closed was undertaken a role of communication through 󰡔Uigwe󰡕 and 「Jinyeondo」 with respect to the stage form and installations for the performance space where the royal palace performance of the later Joseon. The traditional performance space of Korea was not a public space as today until the public culture was developed. However, under the closed space, it has undertaken the role of communication to advance the performance art. The performance space where the performing art of the royal palace in the later Joseon has the living site to be facilitated as the performance space. Also, the performance space is classified for internal court and external court. The arrangement of external court symbolizes the establishment of kingship and dignity of royal family while realizing the open and integrated space in a way of making conspicuous performance by establishing the space appropriate for palace performance. The stage to decorate the performance space as the temporary special stage has profound relativity with participants, performance categories, performers and others. For having direct influence in the stage form for the palace performance, there are Bogye, Chail and Juryeom. Many attendees have made the space for them on the primary ground to make simple classification of identity, and moreover, it has a greater implication to be together in the performance space, as the great celebration beyond identity. Bogye could be said as the device to support the foregoing. Chail is installed regardless of internal court and external court that the installation of Chail is a required element in the palace performance. It has undertaken the role of stage during the later Joseon when the stage facilities are not available in a way of protecting performers and audiences with the great stage effect as part of important installations. Juryeom has the role to separate the space and gender due to the influence of Confucianism in internal court. This is understood as the solution in Juryeom or insignia in and out of musical stage for the issues generated by the court musicians to perform in internal court where the court musicians to participate by the queen, myeongbu (circle of women in Joseon Dynasty) and others in the Confucius society. Based on the Confucius ideology, the device of Juryeom is used to communicate to perform the music or severance of court musicians in internal court. Furthermore, it has become a device to engage in performances to the fullest by the Gyobangyeogi (female singers and dancers registered in government) that had the implied role to deliver the outside culture to the royal palace. As such, the performance space of the later Joseon is considered as facilitated for space of communication in the later Joseon where it places the importance of the principle of art and music together with the purpose of familiarity between the kingship and constituents.

한국어

본 연구는 『의궤』와 「진연도」에 기록 된 조선후기 궁중 공연공간의 무대양식과 설치물들을 통해 궁중공연예술의 소통적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공연공간은 폐쇄적인 공간속에서 소통의 역할을 하며 공연예술을 발전시켰다. 실제 생활터전이 공연공간으로 활용되었고, 내연과 외연의 공연공간이 구분되었다. 외연시에는 왕권의 확립과 왕실의 위엄을 상징하면서도 개방적, 통합적 공간을 구현하였고, 내연에서는 폐쇄적이지만 소통적인 요소들을 가미하여 궁중 공연의 목적에 알맞은 공간을 구성하여 공연을 더욱 돋보이게 해주었다. 임시 가설무대인 공연공간을 장식한 무대는 참여자와 연행종목, 공연자 등과 깊은 관련성을 맺는다. 궁중 공연을 위한 무대양식으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는 보계(補階), 차일(遮日), 주렴(珠簾)을 들 수 있다. 이러한 공간과 장치를 설치 한 것은 단순히 신분구분을 하고자 한 일차적인 이유도 있었지만, 신분을 초월한 잔치 즉, 공연공간에서 함께 어울리고자 하는 의미가 더욱 컸다. 이를 뒷받침 해주는 장치가 되는 것이 보계라 할 수 있다. 또 차일은 내외연의 구분 없이 설치되어 차일의 설치는 궁중공연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무대시설이 갖추어져 있지 않던 조선후기에 무대의 역할을 했던 것으로 공연자와 관람자를 보호하고 무대의 효과를 내었던 중요한 가설물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주렴은 내연에서 유교의 영향으로 인해 공간과 성별을 분리하는 역할을 하였다. 이것은 유교사회에서 악공이 왕비와 명부 등이 참여하는 내연에서 악공이 연주함으로써 생기는 문제를 악대 앞에 내외(內外)하는 주렴이나 휘장으로 해결하였던 것으로 이해된다. 또 외부의 문화를 궁중으로 전달해주는 암묵적 역할을 담당했던 교방여기들이 마음껏 공연을 펼칠 수 있는 장치가 되었다. 이처럼 조선후기 공연공간은 왕과 구성원간의 유대를 위한 목적과 함께 예악의 원리를 중시한 조선후기에 소통의 장이 되었던 공간으로 활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조선후기 궁중의 공연공간
Ⅲ. 공연공간과 소통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성 Lee Myoung Sung.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전공 겸임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