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자성편(自省篇)』에 나타난 영조의 윤리의식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King Yeongjo's Ethic Consciousness Appearing in “Jaseongpyon (自省篇)”

홍한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thic consciousness is established through the process of exploring one's ontological meaning. By asking and answering myself about what I should do, what I want to do, and how I should do it,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with others or society, consciousness works take place. The system of thought in Confucianism, represented by ‘Naeseongwoiwang(內聖外王)’, provides a good way to explore one’s ontological meaning. This study set up 'King Yeongjo (英祖,1694‐1776)’ as a person who fits the concept of 'Naeseongwoiwang' and examined his ethic consciousness. King Yeongjo thought it important to catch and preserve the mind of goodness (善). Because this mind is easily shaken by floating thoughts (浮念) and temptation outside (外誘). King Yeongjo thought it was important to preside the mind around ‘reverence(敬)’, so that the mind would not be shaken by floating thoughts and temptation outside. Presiding the mind with ‘reverence(敬)’ means trying to constantly observe and preserve ‘conscience (良心)’ through ‘reflection(省察)’. By regaining his genuine goodness through discipline (學問) and perseverance (忍), and also deliberation (窮理) of scriptures (經典) and history records (史記) to preserve his mind as intellectual (至誠), King Yeongjo tried to lead it to loving people (愛民). King Yeongjo is a practice‐oriented figure who is equipped with Naeseong (內聖) and tried to reveal Woiwang (外王). King Yeongjo's perception that 'the mind that presides over the body becomes the basis of ten thousand changes (萬化)' can be explained by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mind from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 and furthermore, it can be interpreted as ethic consciousness that the change of nation depends on king's mentality. King Yeongjo’s ontological perception that ‘all of the pain and pleasure (苦樂) of people is up to him’ and his existential perception that 'it is not difficult to know, but difficult to do' clearly demonstrate his ethic consciousness.

한국어

윤리 의식은 자신의 존재론적 의미를 탐색해 가는 과정을 통해 정립된다.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무엇을 하고 싶은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 스스로 문답하며 타인 혹은 사회와의 관계를 정립하는 과정 속에서 의식작용이 발생 하는 것이다. ‘내성외왕(內聖外王)’으로 대표되는 유학의 사유체계는 자신의 존재론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좋은 방법을 제공한다. 본고는 이 ‘내성외왕’의 개념에 부합하는 인물로 ‘영조(英祖,1694~ 1776)’를 설정하고 그의 윤리의식에 대해 살펴보았다. 영조는 선(善)한 마음을 잡아 보존하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했다. 왜냐하면 이 마음은 부념(浮念)과 외유(外誘)에 의해 쉽게 흔들리기 때문이다. 영조는 마음이 부념과 외유에 흔들리지 않기 위해서 ‘경(敬)’을 중심으로 마음을 주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경’으로 마음을 주재한다는 것은 ‘성찰(省察)’을 통해 ‘양심(良心)’을 끊임없이 관찰하고 보존하고자 노력하는 것을 의미한다. 영조는 학문(學問)과 인내(忍)를 통해 본연의 순선함을 회복하고 경전(經典)과 사기(史記)를 궁리(窮理)하여 지성(至誠)으로 마음을 보존함으로써 그것이 애민(愛民)까지 이어지도록 노력했다. 영조는 내성(內聖) 갖추어 외왕(外王)을 드러내고자 노력한 실천 지향적 인물이다. ‘한 몸을 주재하는 마음이 만화(萬化)의 근본이 된다.’는 영조의 인식은 철학적인 측면에서 마음의 특성을 이해한 것으로 설명할 수 있으며, 나아가 군주의 마음가짐에 나라의 변화가 달려있다는 윤리적 의식으로도 해석 가능하다. ‘백성의 고락(苦樂)이 모두 자기에게 달려있다’는 영조의 존재론적 인식과 ‘아는 것이 어려운 것이 아니라, 행하는 것이 어려운 것’이라는 그의 실존적 인식은 그의 윤리의식을 잘 보여준다.

목차

<논문 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심감』을 통해 본 영조의 마음 인식
Ⅲ. 『자성편』에 나타난 경(敬)의 실천적 이해
Ⅳ. 영조 윤리의식의 특징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한얼 Hong, Han-eol. 경인교육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