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독일의‘도시재생’성공사례 연구 : 함부르크, HafenCity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Case Study on the Success of 'Urban Regeneration' in Germany : Hamburg, HafenCity

박길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olicy implication for improving the direction of urban regeneration in Korea by analyzing the case of 'Hamburg HafenCity' which is a success case of German urban regeneration. Before analyzing the case study, we clarified the clear conceptualization and meaning of urban regeneration by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isting urban redevelopment and urban regeneration according to several criteria. For the case analysis, five analysis criteria and evaluation items of urban regeneration success factor were analyzed and analyzed. categorized this into three categories, First, public-private partnership as public role. The municipal government derived voluntary participation of various stakeholders, from deriving the master plan to the whole development process. Second, the urban regeneration direction, that is, within the master plan of the city as a whole, HafenCity is used as a center of development strategy, and it is pursuing the development of balanced and harmonious development of the whole city by strengthening the connection with the old urban center and the undeveloped urban areas. Especially, the municipal government have created a competitive and differentiated city through the combination of building use and securing the publicity. Third, the whole city is pursuing 'sustainability' while aiming for a low-carbon eco-city. This suggests various policy implications for urban regeneration in Korea. In addition, we pointed out some limitations to overcome in terms of applying our reality.

한국어

본 연구는 독일 도시재생의 성공사례라고 할 수 있는 ‘함부르크 하펜시티 (Hamburg HafenCity)’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우리나라 도시재생의 방향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는 데 있다. 사례분석에 앞서 기존의 ‘도시재개발’과 ‘도 시재생’의 차이점이 무엇인지를 몇 가지 기준에 따라 비교 설명하여 도시재생의 명백한 개념화와 의미를 고찰하였다. 또한, 사례분석을 위해 도시재생 성공요소의 5가지 분석기준과 평가항목을 구체화하였다. 이를 크게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보 면 첫째, 공공의 역할로서 민·관 파트너십이다. 시(市) 정부는 마스터플랜 도출에 서부터 개발 전 과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자발적 참여를 도출하 였다. 둘째, 도시재생의 방향성, 즉 도시 전체의 마스터플랜 안에서 하펜시티를 발전전략의 구심점으로 삼아 구(舊) 도심부와 미개발된 도시지역과 연계성을 강화 하여 도시 전체가 균형과 조화를 이룬 발전을 추구하고 있다. 특히 건물 ‘용도의 복합화’와 ‘공공성의 확보’를 통해 경쟁력 있고 차별화된 도시를 창출하였다. 셋째, 도시 전체를 저탄소 생태 도시를 지향하면서 ‘지속가능성’을 추구하고 있다는 점이 다. 이 같은 점에서 우리나라의 도시재생에 있어서 다양한 정책적 시사점을 던져 주고 있다. 이와 더불어 우리의 현실적용 관점에서, 몇 가지 극복해야 할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도시재생의 이론적 고찰
Ⅲ. 도시재생 사례『분석의 틀』
Ⅳ. 사례분석: 함부르크,“하펜시티의 도시재생”
Ⅴ. 분석결과의 정책적 함의
Ⅵ.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길용 Park Kil-Yong. 세명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