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d social effects of participating in living culture activities for Daejeon citizens. The social effects were set to creativity and self-esteem at the individual factor and community involvement and exchange at the social factor, this effects were tested by the method of participation in living culture activities. We used SPSS 22 to analyze this effects, factor analysis, analysis of varianc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lecture programs increased the effects of community involvement and exchange at the social factor. Participation in the club activities showed a decrease in creativity, and further analysis of the club activities was necessary. Participation in cultural art events increases self-esteem. Participation in performances and exhibitions of cultural art events increased creativity. Through these analysis results, first, development of living cultural programs to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residents and community of village culture. Second, revitalization through support of various community club activity programs. Third, support for the formation of village cultural community through exchange and cooperation between local Culture and Art Activists and local residents. Fourth,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living-oriented and generation-integrated living cultural programs for young and old generations.
한국어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민을 대상으로 생활문화활동에 참여하면서 나타난 사회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회적 효과는 개인적 차원의 창의성과 자아존중감, 사회적 차원의 사회참여 와 교류로 설정하였으며, 이러한 효과에 대해 생활문화활동의 참여방식에 따른 효과성을 검정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2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 요인분석, 변량분석, 로지 스틱 회귀분석 등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강좌 및 강의 프로그램의 참여는 사회 적 차원의 사회참여와 교류의 효과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호회 활동의 참여는 창의성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동호회 활동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 되었다. 문화예술행사 관람의 참여는 자아존중감이 증가하고, 문화예술행사의 작품공연 및 전시 참여는 창의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서 첫째, 지역주민의 특성과 마을문화의 공동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생활문화 프로그램 개발, 둘 째, 다양한 공동체적 동호회 활동의 프로그램 지원을 통한 활성화, 셋째, 지역 문화예술 활 동가와 지역주민들의 교류와 협력을 통한 마을문화 공동체 형성 지원, 넷째, 젊은 세대와 노인 세대를 위한 생활밀착형, 세대통합형 생활문화 프로그램의 개발과 확대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1. 생활문화 개념 및 관련 이론
2. 사회적 효과 연구
Ⅲ. 연구방법
1. 연구대상 및 방법
2. 척도구성
3. 연구모형
Ⅳ.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사항
2. 생활문화활동의 인식, 참여 동기 및 방식
3. 생활문화활동의 사회적 효과의 요인분석
4. 생활문화활동의 참여방식에 따른 효과성 검정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