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members in social media is related to reciprocity by using social exchange theory and resource theory. The concept of reciprocity is conceptualized as equity against differences in rewards and costs(burdens) in the exchange of resources between members. Specifically, this study identifies the types of exchange that occur in terms of rewards and costs(burdens) in social media and studies how difference between rewards and burdens in each exchange activity affect perceived reciprocity toward the use of social media and the intention to continuous use social media. The results show that the common forms of behavior in which rewards and burdens occurred, included the following four dimensions: 1) exchange efforts, 2) knowledge sharing, 3) networking management, 4) information disclosur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fits (the difference between rewards and costs(burdens)) of “knowledge sharing”, “networking management”, and “exchange efforts” had effects on the perceived reciprocity toward using social media. In addition, only the difference between rewards and costs(burdens) in the action of “knowledge sharing”, “networking management” affected the continuous use of social media significantly.
한국어
소셜 미디어는 온라인에서 정보를 교환하고 상호간 관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으며, 인맥을 관리 하고 유지하기 위한 시간과 비용을 오프라인에서보다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사회교 환이론과 자원이론을 활용하여 소셜 미디어에서 구성원 간의 자원교환행위가 호혜성에 어떻게 연관되 는지를 관찰하고자 하였다. 호혜성 개념은 구성원 간 자원교환에 있어서의 보수와 비용(부담)의 차이 에 대한 형평성 여부로 개념화된다. 구체적으로 소셜 미디어에서 보수와 부담이 발생하는 자원 교환 활동의 형태를 파악하였고, 이러한 활동에서 발생하는 보수와 부담의 차이가 지각된 호혜성과 지속 이 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보수와 부담이 발생하는 교환활동으로 교류노력, 지 식공유, 인맥관리, 정보공개의 4가지 종류를 추출하였다. 이중에서 지식공유, 인맥관리, 교류노력의 불 일치가 지각된 호혜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셜 미디어 지속의도에는 지식공유, 인맥 관리에서의 불일치가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낸 것으로 파악되었다. 본 연구는 인맥 형성을 통해 비 즈니스 활동 기회를 제공하는 소셜네트워크 서비스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역 할로써 자원공유와 호혜성의 활용을 제시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논의
2.1 소셜 미디어 개념 및 현황
2.2 교환이론과 형평성 이론
2.3 소셜 미디어의 사회 교환 활동
3. 연구 방법
3.1 수집방법
3.2 측정방법
3.3 분석방법
4. 연구 결과
5. 연구요약 및 향후 연구방향
5.1 연구요약
5.2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