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성인소비자의 자기결정성요인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자기결정성요인에 따른 유형분류 및 윤리적 소비행동분석

원문정보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of Adult Consumers : Analysi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in Different Type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홍은실

한국소비자정책교육학회 소비자정책교육연구 제15권 3호 2019.09 pp.29-50

doi:10.15790/cope.2019.15.3.029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factors on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and categorize of adult consumers based on self- determination factors and analyze thei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Statistical analysis was achieved by using t-test,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regression analysis, and War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with a total of 500 questionnaires. Th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mong self-determination factors, ‘competence’ was the highest and ‘autonomy’ was the lowest. Among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moderation and simplicity’ was the highest, while ‘community movement’ was relatively the lowest.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competence’ has a positive effect on all ethical consumption except ‘commercial ethics’. The ‘relatednes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ive ethical consumption behaviors, except for ‘commercial ethics’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Meanwhile, “autonomy” had a positive impact on ‘commercial ethics’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but it turned out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community movements’. Third, The ‘self-determination group’ showed the highest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except for the ‘community movement.’ The ‘group with low autonomy’ showed a higher level of ethical consumption across the board, although it had slightly lower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than the ‘self-determination group’. This group has the highest level of ‘community movement’ but the lowest level of ‘commercial ethics’. Fourth, ‘Self-determination ordinary group’ was relatively low in terms of ‘commercial ethics’, ‘local consumption’, ‘fair trade’ and ‘community movement’, while ‘aggressive purchase’ and ‘disappearance movement’ and ‘moderation and simplicity’ were among the lowest with ‘competence/relatedness lack group’. The ‘competence/relatedness lack group’ was only high in ‘commercial ethics’ and other levels of ethical consumption behavior were the lowest.

한국어

본 연구는 성인소비자를 대상으로 하여 자기결정성요인이 윤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기결 정성요인으로 소비자유형을 분류한 후 유형별 윤리적 소비행동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적인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500부의 설문지를 자료로 하여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군집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성요인은 유능성이 가장 높고 자율성이 가장 낮았다. 학력이 높고 가계소득이 높으며 직업이 있 는 경우 유능성과 관계성이 높았고, 자율성은 직업이 있는 경우 높았다. 둘째, 윤리적 소비행동에서 절제와 간소 가 가장 높았으며 공동체운동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여자와 무직자의 경우 상거래 윤리수준이 높으며, 기혼 과 직업이 있는 사람이 공동체운동을 더 많이 하고, 적극적 구매와 로컬소비는 직업이 있는 사람에게서 더 높았 다. 한편 연령이 높을수록 공정무역을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를 많이 하고, 학력이 높을수록 적극적 구매와 불 매운동, 공정무역소비, 공동체운동을 많이 하였다. 셋째, 상거래 윤리를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에 유능성은 정 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관계성은 상거래 윤리, 절제와 간소를 제외한 5가지 윤리적 소비에 정적인 영향을 주었 다. 자율성은 상거래 윤리와 절제와 간소에서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 공동체 운동에서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 었다. 넷째, 유능성과 자율성, 관계성이 높은 ‘자기결정성우수집단’은 공동체 운동을 제외한 모든 윤리적 소비행동 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여, 유능성과 자율성, 관계성의 자기결정성요인은 윤리적 소비행동의 긍정적인 동기를 제공해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섯째, 유능성과 관계성은 높으나 자율성이 낮은 ‘자율성부족집단’은 공동체 운동 의 수준이 가장 높으나 반대로 상거래 윤리 수준은 가장 낮았다. 이는 공동체 운동에 유능성과 관계성은 정적 영 향을 주나 자율성은 부적 영향을 주고 있음을, 그리고 상거래 윤리에는 유능성과 관계성이 영향을 미치지 않고 오직 자율성만이 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선행연구 고찰
1. 윤리적 소비행동
2. 자기결정이론
3. 자기결정성요인과 윤리적 소비행동
Ⅲ.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3. 변수의 정의 및 측정
4. 자료분석방법
Ⅳ. 연구결과
1. 성인소비자의 윤리적 소비에 대한 자기결정성요인
2. 성인소비자의 자기결정성요인과 윤리적 소비행동
3. 자기결정성요인 유형별 윤리적 소비행동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은실 Hong, Eun-Sil. 전남대학교 생활복지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