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엘리트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기계체조 국제경기와 국내경기의 철봉종목 연기내용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sis on Performances Contents of the Artistic Gymnastic Horizontal bar in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Games

김동화, 이수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stponement of the 2018 international and domestic games men 's Horizontal bar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leap at the 2020 Tokyo Olympic Games. Methods are selected a total of 24 players participated in the final round as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were divided into each by three Group. The measurement tool uses IRCOS video system, camcorder and Game result paper, and the collected data is SPSS 24.0 Ver. The descriptive statistics, the frequency analysis, the one - way ANOVA and the post - analysis were performed by the Tukey method using the program, an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 frequency of difficulty most favors all three Group D difficulty levels, World Championships Group D, E, C, Difficulty, Asian Games and National Representative Group were D, C, E Difficulty. Second, the start score average sco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order of the World Championships Group (6.190 ), the Asian Games Group (5.730),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elected Group (5.510). Thirdly, the difficulty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 and E, As a result of the post hoc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election Group will perform B difficulty and the World Championships Group will carry more E difficulty.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onnection technology was not the World Championship Group (7), the Asian Games Group (2),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Selection Match Group. In particular, it has been found that the World Championships and the Asian Games Group implement many Connection with Tkatchev technology. In conclusion, Horizontal bar Performance configuration is based on the connections of Tkatchev technology (0.1 to 0.2 points) can be obtained, E difficulty can improve the competitiveness in the Horizontal bar.

한국어

이 연구는 2018년 기계체조 국제경기와 국내경기 남자 철봉종목의 연기내용을 분석하여 2020년 도쿄올림픽에 서 철봉종목 도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은 결승경기에 참가한 선수 총 24명을 편의표본추 출방법으로 선정하고, 각 대회별 3개의 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측정도구는 IRCOS 비디오 시스템, 캠코더, 경기결과지를 사용하고,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Ver.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빈도분석, 일원변량분산분석 및 사후분석 은 Tukey방법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난도에 대한 빈도는 3개의 집단 모두 D난도를 가장 선호하였 고, 세계선수권대회 집단이 D, E, C난도, 아시안게임과 국가대표 선발전 집단이 D, C, E난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작 점수 평균점수는 세계선수권대회 (6.190점), 아시안게임(5.730점), 국가대표 선발전 (5.510점) 순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분석결과 세계선수권대회가 국가대표 선발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시작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난도는 B와 E난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분석결과 국가대표 선발전이 B난도, 세계선수권대 회에서 E난도를 더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결기술은 세계선수권대회(7회), 아시안게임(2회), 국가대 표선발전 집단은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세계선수권대회와 아시안게임 Group이 Tkatchev 계열의 기술로 연 결기를 많이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철봉 연기구성은 Tkatchev 기술의 연결기와 연결가점(0.1~0.2점) 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E난도 이상의 기술을 실시하는 것이 철봉종목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및 방법
3. 자료처리
Ⅲ. 결과
1. 난도에 대한 빈도분석 결과
2. 시작점수에 대한 비교분석
3. 난도에 대한 비교분석
4. 연결기술에 대한 빈도분석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화 Kim, Dong-Hwa. 충남대학교
  • 이수근 Lee Soo Keun. 충남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