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활 스포츠편 : 자연과학영역

성별에 따른 스마트폰 사용정도와 목의 기능 및 근육의 기계적 속성 비교

원문정보

Comparison of Smartphone Usage by Gender and Functions of the Neck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Muscles

박경은, 한태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on 87 male and 58 female in their 20s who use smartphones to determine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cervical muscle according to gender by measuring the use to smartphone time, the NDI(neck disability index), RSP(rounded shoulder posture), the ROM(range of motion), PP(pressure point), grip strength, and cervical muscle. The usage of smartphone was evaluated by smartphone addiction survey developed from KISA(Korea International Society Agency) and cervical ability investigation was NDI(neck disablity index). The RSP was measured from the reclined position with a ruler. The ROM measured the flexion and extension, lateral flexion, rotation of the neck, and PP measured upper trapezius(URA), upper strength measured the grip strengh. Biomechanical properties of muscles; Upper trapezius(URA), Sternocleidomastoid(SCM), were measured by Myoton, and conducted five paremeters; frequencym decrement, stiffness, creep, relaxation time.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in smartphone addiction level, round shoulder posture, left rotation and grip strength depending on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exes in left URA. Biomechanical properties results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right SCM C,R were observed by gender. In conclusion, there were differences in upper strength and muscle biomechanical properties depending on gender, and the specific muscle characteristics indicated by gender were known. The biomechanical properties of the muscles by gender will help with objective interpretation.

한국어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20대 남성 87명과 여성 58명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사용시간, 중독정도, 경부장애 지수, 둥근어깨자세. 경부 관절가동범위, 압통역치, 악력, 경부의 연부조직을 측정하여 성별에 따른 경부 근육의 기계적 속성을 파악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스마트폰 사용시간은 자가기입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중독정도는 스마트폰 중독 척도설문지를 활용하였다. 경부장애지수는 NDI(neck disability index)를 이용하였고. 둥근어깨자세는 바로 누운자세에 서 자로 측정하였다. 관절가동범위는 목의 바깥쪽굽힘과 굽힘, 폄을 측정하였고, 압통역치는 상부승모근을 측정하였고, 근력은 악력을 측정하였다. 경부근육의 기계적 속성 측정은 Myoton을 사용하여 위등세모근(URA;Upper trapezius), 목빗근(SCM;Sternocleidomastoid)을 근긴장도(frequency;F), 동강성(stiffness;S), 점탄성(dcrement;D), 회복시 간(relaxation;R), 변형률(creep;C)의 지표를 각각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성별에 따라 스마트폰중독정도, 둥근어깨자 세, 왼쪽 회전, 악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왼쪽 위등세모근의 압통역치와 오른쪽 목빗근 회복시간, 변형률에 서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성별에 따라 목의 기능, 상지근력, 근속성이 차이가 있었으며 성별로 나타나는 특이적인 근육의 특성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성별에 따른 근육의 기계적 속성이 객관적인 해석에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 및 방법
3. 자료분석
Ⅲ. 결과
1. 스마트폰 사용시간과 스마트폰 중독정도 비교
2. 경부장애지수와 둥근어꺠자세 비교
3. 경부 관절가동범위 비교
4. 위등세모근과 목빗근의 기계적 속성 비교
5. 압통역치 비교
6. 상대악력 비교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박경은 Park, Gyeong-Eun. 안동대학교
  • 한태경 Han, Tae-Kyung. 안동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