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function, and IGF-1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c obesity. Twenty elderly women with sarcopenic obesity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llowing two groups, i.e., combined exercise group (EG: n=10) and control group (CG: n=10). The subjects in the EG completed 60~80 min of exercise training for three times a week during 12 weeks, whereas the subjects in the CG group were asked to maintain their normal lifestyle during the same period of the intervention. Main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body composition, body weight, BMI, % fat mass, and free fat m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EG. Second, Regarding physical fitness, grip strength, upper arm flexion, chair sit to stand and VO2max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G. Third, Regarding isokinetic function, peak torque, total work and average power at extension and flexion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G. Fourth, IGF-1 increased significantly at the EG. Based on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12-week combined exercise training would contribute on improving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isokinetic function, and IGF-1 in elderly women with sarcopenic obesity.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12주간의 복합운동이 근감소성 비만 노인 여성의 체력, 등속성 근기능 및 IGF-1에 미치는 영향 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근감소성 비만을 가지고 있는 노인 여성 20명으로 운동 집단과 통제 집단으로 각 10명씩 무선할당 하였다. 운동 집단 대상자는 12주간 주 3회, 회당 60~80분씩 운동 트레이닝을 실시하였고, 통제 집단 대상자는 동일한 처치 기간에 평소의 생활습관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처치 전과 후에 체력, 등속성 근기능과 IGF-1을 측정하였고, 이후 두 집단 간, 그리고 두 시기 간을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체격과 신체구성 과 관련하여, 체중, BMI, 체지방률그리고 제지방량이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개선되었다. 둘째, 체력과 관련하여, 악력, 상완굴신력, 의자에앉았다일어서기, 그리고 VO2max가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셋째, 등속성 근기능과 관 련하여, 신전과 굴곡의 최대힘효율, 총일량, 그리고 평균파워가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넷째, IGF-1이 운동 집단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12주간 실시한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근감소성 비만 노인 여성의 신체구성, 체력, 등속성 근기능, 그리고 IGF-1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Ⅱ. 연구 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항목 및 방법
3. 운동 처치
4. 자료처리 방법
Ⅲ. 결과
1. 체격과 신체구성의 변화
2. 체력
3. 등속성 근기능
4. IGF-1
Ⅳ.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