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국내외 여행 플랫폼을 통한 맞춤형 전문 가이드 서비스 제안

원문정보

Suggestion of Customized Professional Guide Services through Domestic and Foreign Travel Platforms

김승인, 이가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ncludes services that require six professional guides – health care, exhibition performance, restaurant, shopping, business and daily life – as well as a trip-based tour, along with solving existing problems that may occur on domestic and overseas trips, and proposes services that connect users with proven professional guides. As a result of previous research, the most needed services among overseas travel were air tickets, accommodation, transportation, and guides, but as Korea enters an aging society, professional guide services are expected to increase daily demand. Based on this, the service technology, user scenarios and brand development were presented. This Service Proposal provides users with a personalized guide to knowledge or experience that they have not previously known, providing them with a wealth of experience. In addition, guides can help develop new fields of expertise and help improve professional guides' capabilities. Finally, the platform service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the creation of jobs by enabling everyone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s it allows users to provide services through their own capabilities while at the same time being convenient for them.

한국어

본 연구는 국내외 여행에서 일어날 수 있는 기존의 문제점 해결과 함께 여행을 기반으로 테마 여행뿐만 아니라 헬스 케어, 전시 공연, 맛집 쇼핑, 비즈니스, 일상생활 등 6가지 전문 안내가 필요한 서비스 군을 포함하며, 사용자들에 게 검증된 전문 가이드를 연결해주는 서비스를 제안하는 것이다. 선행 연구 결과, 해외여행 중 가장 필요한 서비스로는 항공권, 숙박, 교통, 가이드 순으로 조사되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전문 가이드 서비스는 필수 적 서비스로서 그 수요는 날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토대로 서비스의 기술과 사용자 시나리오 그리고 브랜드 개발을 제시하였다. 본 서비스 제안을 통해 사용자는 기존에 알지 못하던 지식이나 경험을 맞춤형 가이드를 통해 제공받게 되어, 더 풍부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로서는 새로운 전문분야를 익히는 데 도움이 되어 전문 가이드의 역량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플랫폼 서비스는 사용자가 편의를 받을 수 있는 동시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역량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누구나 경제활동을 가능케 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이 가능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과 목적
1.2 연구 방법
2. 기술적 특징
2.1 등록부
2.2 사용자 저장부
2.3 검증부
2.4 여행 정보부
2.5 매칭부
2.6 수수료 결제
2.7 감시부
2.8 번역부
3. 사용자 시나리오
3.1 고객 시나리오
3.2 서비스 제공자 시나리오
4. 브랜드 디자인 개발
4.1 인포메이션 아키텍쳐(Information Architecture)
4.2 프로토타입(Prototype)
5. 결론
REFERENCES

저자정보

  • 김승인 Seung-In Kim.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교수
  • 이가하 Kaha Le.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학 박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