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엔터테인먼트

모바일 게임캐릭터 유형별 선호도 분석 - 드래곤 빌리지, 쿠키런, 애니팡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nalysis of Preference by Mobile Game Character Type - Focused on Dragon Village, Cookie Run, Ani Pang -

지세은, 김승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factors of preference for mobile game characters whos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IP) influence is great. There have been many cases in which user-sid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character's preference factors. However, it is largely macro-divided. Detailed analytical studies are needed because details are overlooked. By classifying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 the five-point scale of the recorder also obtains the data through the survey. Detailed fact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Prior studies and results were compared and factors consistent with prior studies were analyzed. Because this study analyzed detailed factors, unlike previous studies of macro view. It is expected to help develop characters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IP(지적재산권)의 영향이 큰 모바일 게임캐릭터들의 선호도 요인 조사에 관한 연구이다. 캐릭터의 선호요인에 대해 사용자 측면에서의 진행된 연구 사례는 많다. 하지만, 대부분 거시적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세부적인 측면은 알 수 없기 때문에 좀 더 구체적인 분석 연구가 필요하다. 캐릭터의 요소들을 분류하여 리커트 5점 척도 설문을 통해 결과에 따라 세부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용자가 선호하는 캐릭터의 요소들을 캐릭터 구성요소별 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캐릭터의 선호요인 중 공통으로 나타난 요소들을 알 수 있었다. 공통요인들은 동물형 캐릭터와 간략화된 유형을 가장 선호하고, 고양이 토끼 등의 익숙한 캐릭터를 가장 선호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향후 게임캐릭 터 개발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배경 및 목적
1.2 연구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모바일 게임
2.2 게임 캐릭터 시장
3. 연구 대상
3.1 드래곤빌리지
3.2 쿠키런
3.3 애니팡
4. 캐릭터유형 별 선호도 분석
4.1 분석방법 및 범위
4.2 세부분석 및 범위
4.3 분석내용
4.4 종합적 분석
4.5 게임사별/그룹별 분석
5. 결론
5.1 연구의 의의 및 한계점
REFERENCES

저자정보

  • 지세은 Se-Eun Chi.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자인경영 전공, 석사과정
  • 김승인 Seung-In Kim.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