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경영

항만 분권이 항만경영 및 항만개발에 미치는 영향 : 항만 현장 중심성의 매개효과

원문정보

The Effects of Port Decentralization on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 The Mediating Effect of Port Site Centrality

양항진, 정두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port decentralization on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analyze whether port site centrality has mediated effect in relation between port decentralization and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This study surveyed public officials and researchers who plan and execute port policies, and analyzed the influence relationship of variables and the mediating effect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port authority decentralization and regional-centered port policy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port site centrality, and the port authority decentralization has a positive influence on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Second, the port site centrality was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Third, port site centrality was shown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ort decentralization and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This study suggested the positive effect of port decentralization to local government on efficient port management and port development, and the need to draw up port site-oriented policies.

한국어

본 연구는 항만분권이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항만현장 중심성이 항만분권과 항만경영 및 항만개발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확인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항만정책을 입안하고 집행하는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 공무원과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고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변수들 간의 영향관 계 및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항만분권의 세부요인인 항만권한 분권과 지역중심 항만정책은 항만현 장 중심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 항만권한 분권은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항만현장 중심성은 항만경영과 항만개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항만현장 중심성은 항만분권과 항만경영 간의 관계 및 항만개발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로의 항만분권이 효율적 항만 경영과 항만개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와 항만 현장 중심의 정책 마련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선행연구
3. 연구방법
3.1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3.3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4. 실증분석 결과
4.1 표본의 특성
4.2 측정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4.3 상관관계 분석
4.4 다중회귀분석
4.5 매개효과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REFERENCES

저자정보

  • 양항진 Hang-Jin Yang. 경상대학교 국제통상학과 박사
  • 정두식 Doo-Sig Jung. 창원대학교 신산업융합학과 부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