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Seis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Mid and Low -Rise RC Grid Structures Using Steel Slab Hysteretic Damper
초록
영어
Purpose: After analyzing the seismic capability of low-rise RC grid structures with insufficient seismic performance, the purpose of the project is to install steel slab hysteretic dampers (SSHD)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eams and columns, and to suggest measures to minimize damage to the structure and human damage when an earthquake occurs. Method: The evaluation of the seismic performance of a structure is review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 seismic performance is identified for the grid-type subway systems that are not designed to be seismic resistant and the installation of an SSHD system, a method that minimizes construction period, if insufficient, is required. Result: After the application and reinforce of structure with SSHD, and the results of eigenvalu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natural periodicity of longitudinal direction was 0.55s and that of vertical direction was 0.58s. Conclusion: As results of cyclic load test of structure with SSHD, the shear rigidity of damper is 101%, the energy dissipation rate is 108% and, plastic rotation angle of all column and beam is satisfied for Io level and therefore it is judged that the reinforce effect is sufficient.
한국어
연구목적: 내진성능이 부족한 중·저층의 RC 격자 구조물의 내진능력을 해석한 후, 보와 기둥의 내진성능 개선을 위해 강재 슬래브 이력형 댐퍼( SSHD)를 설치하고, 지진이 발생할 때 구조물의 손상 및 인적피해 를 최소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내진설계가 되지 않은 격자 형태의 전철 역 사를 대상으로 내진성능을 파악하고, 내진성능이 부족할 경우 공기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방법인 SSHD 시 스템을 설치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구조물의 내진성능 평가 및 보강을 검토한다. 연구결과: SSHD를 적용 하여 구조물을 보강한 후, 고유치 해석을 수행한 결과 장변방향으로는 0.548s의 고유주기를 나타내었으 며, 단변방향으로는 0.593s의 고유주기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SSHD에 대하여 반복하중 실험을 수행 한 결과, 댐퍼의 전단강성은 103%, 에너지소산량은 111% 및 109%로 나타나고, 모든 기둥과 보 부재의 소성회전각은 Io 수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나 보강효과가 충분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서론
내진성능 검토
대상구조물
강재 슬래브 이력형 댐퍼(Steel Slab Hysteretic Damper, SSHD)
기존 구조물의 내진성능의 평가
강재 슬래브 이력형 댐퍼(SSHD)의 성능실험
재료의 특성시험
구조성능 실험
실험결과
SSHD로 보강된 구조물의 해석에 의한 내진성능 평가
감쇠장치의 강성
설계 지진파의 생성
해석결과의 분석
결론
Acknowledgement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