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Pedagogical Ramifications of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y on General English Classes from Korean Students Perspective

원문정보

한국대학생의 관점에서 바라본 4차산업혁명 과학기술이 교양영어교육에 미치는 영향

Cho Youngsang, Andrew Richards, Stuart Jones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how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 technology (e.g.,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Augmented Reality/ Virtual Reality) will contribute to current and future general English (GE)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n the era of 4IR. Data were collected from 177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taking GE classes at a Korean university at the time this study was conducted, and a survey questionnaire which includes multiple choice, Likert scale, and open-ended questions, was used as the main data collection method. Data were analyzed by follow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general qualitative data analysis metho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students perceive that some, but not all problems that current GE classes have could be fixed by the 4IR technology. In addition, they believe that the development of 4IR technology will drive a change of the future GE education, but some aspects of current GE classes (e.g., their mandatory status at university and learning in an offline context) and the roles of human agents (e.g., students’ ownership of their English learning and human teachers’ different roles to AI teachers’) should be valued in the future GE classes.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also discussed.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 빅테이터, 증강/가상현실로 대표되는 4차산업혁명기술이 현재와 미 래의 대학 교양 영어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에 대해 한국 대학교 학부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 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한국의 한 대학에서 교양 영어 수업을 듣고 있는 177명의 학생에게 다중 선택, 리커트 척도, 개방형 질문을 통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으며, 설문에 대한 답변은 기술통계와 전형적인 정성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연구 참여자들은 현재 대학 교양 영어가 안고 있는 일정 부분의 문제는 4차산업혁명기술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4차산업 기술로 인해 미래의 대학 교양 영어교육의 변화를 예상하였다. 그러나 이런 변화 속에서도 현재 가지 고 있는 대학 교양 영어교육의 장점(예를 들어 필수교과로서의 교양영어와 오프라인에서 진행되는 교양영어수 업)과 학생과 인간 선생님의 참여(예를 들어 학생들의 주도적인 영어학습 내용과 방법 선정, AI 선생님과 차별화 된 인간 선생님 역할) 등은 여전히 소중하게 평가되어야 한다고 인식되었다. 본 연구와 관련된 교육적 제 언과 연구의 한계점이 포함되어있다.

목차

1. Introduction
2. Literature Review
3. Method
4. Results and Discussion
5. Conclusion and Implications
6. Limitations
References
Appendix
Abstract
초록

저자정보

  • Cho Youngsang 조영상. Dankook University
  • Andrew Richards Dankook University
  • Stuart Jones Dankook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