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 논문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의 변용양상 고찰

원문정보

Research Review on the transformation of folktale <Nymph and Woodcutter>

김광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though the folktale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has a long oral tradition, it was first recorded in Korea in 1898. This paper analyzes how the folktale changed in collections over time. The author first examines ninety‐seven newly discovered collections published before liber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their recording post‐liberation. Twenty‐two versions of the tale presented by Takahashi Toru and five versions presented by Miwa Tamaki in Japanese were influential, and their two collections particularly impacted those published after 1910. Although Takahashi’s version of the tale where the woodcutter ascends to heaven appears most frequently by far, Miwa’s version with a rooster and Im Seok‐jae’s version where the woodcutter overcomes a series of trials were also recorded. Moreover, Im and Sohn Jin‐Tae published papers clearly recogniz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Korean and Japanese versions of the tale. Although the number of materials presented in Korean is relatively limited compared to the Japanese at eighteen, they are valuable as modern sources, particularly as leading intellectuals Choe Nam‐seon, I Neung‐hwa, and I Gwang‐su recorded them. In sum, during the colonial period, the Japanese mainly recorded versions of the tale with the woodcutter ascending to heaven while Koreans recorded the versions of tale with the ascension and the rooster as well. While many folktale collections published post‐liberation mainly recorded the trial and rooster versions of The Woodcutter and the Nymph, the ascension version saw more publication post‐1990. The loss of oral memory and declining oral tradition following urbanization and an aging population has now resulted in the tale being reduced to its basics rather than retaining a complex narrative. There is a need to fundamentally examine the transformation of folktales in the seventy‐some years since liberation and its significance.

한국어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은 오랫동안 연행되어 왔지만, 기록되기 시작 한 것은 1898년 이후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가 새롭게 발굴한 해방 이전에 간행된 97종(중복을 제외하면 채집자료 64, 연구자료 18, 총 82종)의 자료 를 분석하고, 해방 후에 간행된 옛이야기집과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그 전 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일본어로 발표된 자료는 중복을 제외하면 47편인데, 그 중에서 29편은 선행 자료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다카하 시 도오루(22종)와 미와 다마키(5종)의 영향이 강했다. 1910년대에 간행된 두 옛이야기집은 이후에 간행된 자료집에 큰 영향을 미쳤다. 다카하시의 영향을 받아 나무꾼 승천형이 압도적으로 많았지만, 미와에 의해 수탉형, 임석재에 의해 시련 극복형이 채록되었다. 또한 조선인도 일본어로 자료 를 발표했고, 임석재와 손진태는 식민지기에 일본과는 다른 조선 옛이야 기의 특징을 명확히 의식하면서 시련극복형 및 수탉형을 소개하였다. 해방 이전에는 다카하시의 영향으로 나무꾼 승천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그 러나 64편중에서 중복되지 않는 33편을 분석하면 나무꾼 승천형(14편)과 함께 수탉형(9편)이 보고되었다. 한편, 해방 후에 간행된 주요 옛이야기집에는 시련극복형과 수탉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임석재 󰡔한국구전설화󰡕에 해방 전의 자료가 다수 포함 되었음을 고려한다면, 이러한 양상은 식민지기에도 비슷했을 것이다. 그 러나 다카하시, 최남선 이후 나무꾼 승천형이 주로 지면으로 발표되고 1, 2차 교육과정 교과서(1955~72)에 나무꾼 승천형이 수록되면서, 그 영향을 받아 1990년대 이후에는 나무꾼 승천형이 확산되었다. 옛이야기 <선녀와 나무꾼>은 1980년대까지 복잡한 유형(시련극복형과 수탉형)이 주를 이루었지만, 다카하시 이후의 서승양상과 교과서의 영향 으로 나무꾼 승천형이 증가하였고, 근년에는 서사성이 더 간략한 선녀 승 천형이 다수 채록되었다. 도시화, 고령화에 따른 연행자의 기억 쇠퇴, 연행 의 감소 등으로 인해 복잡한 서사 유형을 대신하여 기본형이 중심을 이루 는 상황을 보여준다. 식민시기에 손진태와 임석재는 다카하시의 보고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선녀와 나무꾼> 연구사에 이의를 제기하고 서사성이 복잡한 시련극복형 과 수탉형을 소개하였다. 해방 후 70여 년이 지난 지금 서사적으로 복잡한 유형이 줄어들고 간단한 유형이 연행되는 현상을 주시하고 다른 옛이야기 와의 관련 양상을 검토하는 작업이 요청된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해방 이전에 채집된 <선녀와 나무꾼>
3. 근대 이후 채집된 <선녀와 나무꾼>의 전개양상
4. 근대에 전개된 <선녀와 나무꾼> 연구사
5. 맺음말
<자료 1> 일본어로 발표된 <선녀와 나무꾼>
<자료 2> 조선어로 발표된 자료 <선녀와 나무꾼>
<자료 3> 일본어로 발표된 <선녀와 나무꾼> 연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광식 Kim, Kwang-sik. 릿쿄대학 겸임강사, 한일 비교문화사 전공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