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도・농간 비교 분석

원문정보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Influence Factors of Senior : A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채종훈, 서정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compared factors affecting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in South Korea. This study examined if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 in Korea based on the data (n=4552) of elderly people over 65 years old from the 6th survey data of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at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study found that, if other conditions are the sam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 is 1.6 point higher than that of elderly people in urban area. Next, w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major influencers in urban and rural area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the area. Furthermore this study found that welfare policies such as expansion of comprehensive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support for elderly care tour, and expansion of voucher for cultural viewing are more effective for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n urban area. While, in the rural areas, it was concluded that income protection through the provision of customized jobs for the elderly, that is, economic activity support policy could become a more effective policy means.

한국어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2016년) 6차 조사 기존 패널 6,618명의 자료 중 65세 이상 고령자 표본 4,552명을 선별하여 도시와 농촌지역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및 영향력의 크기를 추정 하였다. 먼저, 전체 표본을 대상으로 본 연구의 주요 관심사안인 삶의 만족도가 도시와 농촌이라는 공간적 특성에 따라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른 조건이 동일하다면 농촌지역 고령자의 삶의 만족도가 도시지역 고령자에 비해 약 1.6점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도·농간의 공간적 특성의 차이는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주요 영향 변인 간 다른 양상으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는 전제하에 공간적 특성의 차이에 따른 고령자 삶의 만족도와 주요 영향 변인 간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검정 결과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간에는 교육수준, 연령, 종교, 노동 상태, 가구총소득, 가구순자산, 월평균용돈, 친한 사람과 만남횟수, 연간모임단체참여횟수, 지원 순 금액, 자녀와의 관계, 여행/문화 관람횟수, 취미프로그램참여횟수, 자원봉사참여시간 등의 변인들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차이가 어떠한 영향변인과 관계가 있으며, 그 영향력의 방향 및 크기는 어떠한지 도시와 농촌지역으로 구분하여 삶의 만족도와 주요 영향 변인들과의 관계성을 살펴 본 결과 도시지역의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 친한 사람과의 만남횟수, 자녀와의 관계 등의 변인이 통계적으로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농촌지역의 경우 고령자의 옷 갈아입기, 목욕・샤워하기, 차려놓은 음식 식사하기, 화장실 이용하기, 대소변 조절하기 등과 같은 일상생활능력에서 타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질 경우 삶의 만족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관적 건강상태, 친한 사람과의 만남횟수, 지원 순 금액 및 자녀와의 관계 변인 등은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도시지역은 노인 종합 돌봄 서비스의 확대, 고령자 돌봄 여행・문화관람 바우처 지원 확대 등과 같은 복지차원의 고령자 지원정책이 효과적인 반면, 농촌지역에서는 고령자에 대한 맞춤형 일자리 공급을 통한 소득 보전, 즉 경제활동지원정책이 보다 효과적인 정책적 수단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
2.1. 삶의 만족도에 대한 이론적 고찰
2.2. 선행연구 검토
3. 연구 자료 및 모형
3.1. 연구 자료
3.2. 연구방법 및 모형
4. 분석결과
4.1. 삶의 만족도와 주요 변인과의 관계 분석 결과
4.2. 삶의 만족도의 영향 요인에 대한 도・농간 비교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채종훈 Chai, Jong Hun. 조선대학교 경제학과 초빙교수
  • 서정원 Seo, Jeong Won. 광주전남연구원 연구위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