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아트 콜라보레이션 유형에 따른 패션 상품기획 프로세스 비교분석

원문정보

A Comparative Analysis of Fashion Product Planning Process by Art Collaboration Type

손중원, 설백교, 이지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product planning process of art collaboration in the fashion industry by analyzing the art collaboration planning process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e. To this end, we designed a collaboration process analysis frame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collected art collaboration case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cooperation, and analyzed the step-by-step product planning process. As a result, Christian Louboutin& Taller Maya's collaboration from a sustainable social design perspective was a craft-intensive product planning process that organically combined various crafts without the same prototyping. To enhance the popularity of new artists and generate differentiated brand identity, Dior & Anselm Reyle's collaboration was evaluated as the design process of close communication with artists. The collaboration of Uniqlo UT&Kaws, as well as Supreme& Andy Warhol, which emphasize the integrated identity of artistic and cultural values, are all evaluated as separate and standalone product planning process. Altogether, we categorized the general art collaboration types in fashion into closed/flat and closed/ hierarchical types. The closed/flat collaboration for the spread of artistic value and efficient operation of brand identity could complement aspects such as efficient identity management and series consistency, product diversity and story building through the participation and evaluation of stakeholders in the design application phase. The closed/ hierarchical collaboration type had the characteristics of ensuring efficient management and economic feasibility. The open/flat type was conducted based on the flexible stages and scope of artists and fashion companies and had the characteristics of pursuing diversity and differentiation of the produ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a fundamental study for product planning of art collaboration and the systematic process of collaboration planning in the fashion field.

한국어

본 연구는 패션 산업에 나타난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유형에 따른 특성을 도출하여 패션산업의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체계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콜라보레이션 프로세스 분석 프레임을 설계하고, 협력 목적에 따른 아트 콜라보레이션사례를 수집하여 단계적 상품기획 프로세스를 분석했다. 분석 결과, 지속가능 디자인 관점의 크리스찬 르부탱과 톨러 마야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다양한 공예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공예 집약형 상품기획 프로세스였으며, 신진 예술가 인지도 제고 및 차별적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를 위해 진행된 디올과 안젤름 라일레의콜라보레이션 사례는 예술가와의 의사소통 밀착형 상품기획 프로세스로 분석되었다. 예술의 문화가치를 내포한 통합적 아이덴티티를 강조한 유니클로 UT와 카우스의 사례, 슈프림과 앤디 워홀의 콜라보레이션 사례는 분리 독립형 상품기획 프로세스로 평가되었다. 종합하면, 패션에 나타난 대표적인 아트 콜라보레이션 사례 유형들은 폐쇄/수평형과 폐쇄/수직형으로 구분되었다. 예술적 가치 확산과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효율적운영을 위한 폐쇄/수평형 콜라보레이션은 초기 단계에서 예술 장르와 예술 콘텐츠의 범위를 보다 명확히 하고, 디자인 적용 단계에 다양한 관계자 참여와 평가를 통해 효율적 아이덴티티 관리 및 시리즈의 일관성, 상품의 다양성을 추구할 수 있는 보완적 방법으로 나타났다. 폐쇄/수직형 콜라보레이션 유형은 효율적 관리와 경제성을 확보하는 특성을 가졌다. 개방/수평형은 예술가와 패션 기업의 유연한 단계와 범위를 기반으로진행되었으며 결과물의 다양성과 차별성을 추구하는 특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아트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을 위한 기초 연구로 의미가 있으며, 콜라보레이션 상품기획 프로세스 체계화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1. 콜라보레이션과 아트 콜라보레이션
2. 콜라보레이션 디자인 프로세스
Ⅲ. 패션에 나타난 아트콜라보레이션 디자인 프로세스사례 분석
1. 상품기획 프로세스에 따른 아트 콜라보레이션 분석 프레임 설계
2. 사례 선정
3. 분석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Abstract

저자정보

  • 손중원 Sun, Zhong Yuan.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박사과정
  • 설백교 Xue, Bai Jiao.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석사과정
  • 이지현 Lee, Jee Hyun.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활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