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the Effects of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도광조, 김금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e of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an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bove all, to examine the actual state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it was found that frequency of emotion expression was 3.49, diversity of emotion expression 3.18, and emotional dissonance 3.12. The level of emotional labor of correctional officers was found to be 3.27.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dents' age and job‐related characteristics. Next, looking at the influenc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ll three factors of emotional labor, such as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ut in terms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ly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emotional dissona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However, in the direction of influence,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factors, demonstrating tha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emotional expression and the higher the level of emotional dissonance,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diversity of emotional expression, even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other words the correctional officials emotional labor turned out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sub-factors of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실태와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의 실태를 살펴보면 감정표현의 빈도 3.49, 감정표현의 다양성 3.18, 감정적 부조화 3.12로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수준은 3.27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연령과 직무관련 특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다음으로 감정노동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살펴보면, 감정노동의 세 가지 요소, 즉 감정표현의 빈도, 감정표현의 다양성, 감정적 부조화 모두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조직몰입에는 감정표현의 다양성과 감정적 부조화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영향을 미치는 방향에 있어서 세 가지 요소 간 다른 양상을 보였는데, 감정표현의 빈도가 높을수록, 감정적 부조화의 정도가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감정표현의 다양성이 높을수록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오히려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도광조 Do Gwang-jo.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김금자 Kim Geum-ja. 동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과정수료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