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웰니스 및 융복합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 결정요인 : 건강신념모델 확장을 중심으로

원문정보

Determinants of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the Particulate Matter : An Application of the Expansion of Health Belief Model

정동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terminants of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the particulate matter. The results based on the survey of 280 university students showed that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and barriers to the particulate matter do not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However, perceived severity and benefits, subjective norm, and self-efficacy to the particulate matter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communication strategies to increase perceived severity and benefits, subjective norm and self-efficacy should be required to improve the degree of preventive behavior intention to the particulate matter of college students.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explaining preventive actions against environmental hazards such as air pollution in the future.

한국어

본 연구는 미세먼지 예방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280명의 대학생들 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과 지각된 장애는 예방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러나 미세먼지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은 예방행동 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대학생들의 미세먼지 예방행동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각된 심각성과 지각된 이익,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요구되며, 향후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위험에 대한 예방행동을 설명하는데 있어 일정 부분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이론적 배경
2.1 미세먼지 예방행동 결정요인 탐색: 건강신념모델
2.2 건강신념모델의 확장 변인: 주관적 규범과 자기효능감
3. 연구방법
3.1 연구대상
3.2 측정도구
3.3 타당도 및 신뢰성 검증
3.4 자료처리
4. 연구결과
4.1 인구통계학적 특성
4.2 상관관계 분석
4.3 경로분석
5. 논의
6.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정동훈 Donghun Chung. 광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