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research study has meaning which there were relative with the customs and the Tiān. Among the primitive customs's symbols come from the Tiān. As the human mind changed on the thought for the Tiān, in order to take the rightness as the governor, it is symbolized the customs's identity more from the Tiān. It is possible that we can trace it through the confucian scriptures. It's remarkable that the customs's symbol motif means peaceful like the Tiān. The symbol of the customs would be affected to the people by the order of the heaven. It's nature that the human could accept it in same thing since it's considered the origin from the order of the Tiān from the primitive times. The primitive symbolized image on customs was from the heaven, earth, animals, plants, rocks , etc. it's not divided by separate from the Tiān. We have to focus on the reality when it was formalized customs culture, it was controlled by the with the Tiān's symbolized cord.
한국어
원시적 신앙의 대상은 인간을 둘러싸고 있는 모든 신령스러운 것들이었다. 원시 적 종교의례는 복식을 통하여 신과의 대화를 시도했다. 원시적 신앙에서 사용하였던 복식들은 사회적 발전에 따라, 윤리적· 도덕적 가치를 가지는 예제에서도 중요한 부분 을 차지하게 되었다. 원시적 종교 의례에서 사용하였던 모든 복식들이 그대로 제도적 으로 발전해 나아갈 수는 없었다. 이에 복식 중에서 취사선택하는 제도화의 기준점이 정해질 수밖에 없었을 상황을 주목한다. 이 논문이 초점을 맞추고 있는 부분은 원시적 종교의례에서 사용되었던 복식들 중에서, 예제화나 제도화로 전개 발전해 나아갔던 복식에서, 天의 기준점에 의거하여 정례화가 가능했을 것으로 보는 관점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하여, 복식과 관련한 문헌 들은 주로 유가계열의 경전을 중심으로 연구하였고, 고증을 위하여서는 고고학적 발견 사항들과 상호 검증작업을 하며 논의를 풀어가고자 하였다. 복식은 제2의 몸이다. 몸은 자신을 드러내며, 제2의 몸인 복식은 사상이나 생각 을 더 잘 표현할 수 있는 도구적 기능을 갖고 있다. 고대 복식에서 필요했던 것은 天의 상징성을 갖고 있는 기호 코드화 되어진 복식이다. 복식은 天을 대신하여 다스리는 군 왕의 절대성을 외형으로 표현해 낼 수 있는 물질문화의 그릇이었고, 天은 복식의 문질 문화에 담고자 하였던 정신문화의 아이콘이었다.
목차
1. 서론
2. 고대 복식의 출현
3. 고대 복식의 色과 ‘天’
4. 고대 복식의 文과 ‘天’
5. 고대 복식의 形과 ‘天’
6.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