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조선 후기 中庶人 畵家의 繪畵에 드러난 莊子的 審美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Chuangtzu on Exposed by the Middle and Bastard Class Painter's painting of the Late Joseon period.

조선 후기 중서인 화가의 회화에 드러난 장자적 심미 연구

김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ocial and economic changes of In the late Joseon period (above 1700-1850) affected the identity system of Joseon, and thus began to falter the order of status centered on the yangban. The attitude or way of thinking of life in the study of the seongli has no longer fully resolved the value and meaning of life. At this point in time, for the Middle and Bastard Class pain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 were discriminated against and socially restricted, the On Aesthetic Appreciation of the Chuangtzu was used as a valid literary tool through various fables. Pain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o spread a creative and individual art world by making their own on-though of the Chuangtzu, who wanted to return to " letting nature be" through the aesthetic and paradoxical logic of negation of everything existing institutionalized and regulated, did not remain within the cultural influence of the yangban. He has achieved artistic achievements that surpass the yangban by resorting to his own semblance, and by using a style of painting that emphasizes the theory of handling the art of hand, as well as the theory of expressing cheongi. The reason paint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showed on tendency of the Chuantzu was because, first, the shaky status system and the full swing of public sentim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ed to meetings and awakenings about human life, and the artistic trend of seeking meaning in ideas other than the study of the seongli was sought. Second, I think it is because the thought of Chuangtzu provided a proper artistic beauty to express it as a creative product through the form of individual paintings and new techniques. They expressed their artistic pride through paintings of the prejudices and disdain they received for their low status compared to their qualities and abilities, and vented their anger at the reality they did not want to obey. Lee In-sang expressed the discrimination, conflict and agony he experienced in his birth background and surroundings as a life-long painting through the beauty of nature. It is full of the joy of living and the joy of living that is contented, seeking pleasure for itself, away from the world in which humans live. Choi Buk constantly pursued creativity and change that was never and is not. The spirit of the brush ironically expressed the tenacity of nature and its grotesque wildness through its movement. And the freewheeling nature of the form showed the ontendency of the Chuantzu and expressed it in the bizarre behavior of life and the unconventional form of painting. Kim Hong-do is regarded as a genius painter who painted the most Korean painting because he already made his name as a palace painter in his early 20s through his efforts with Cheongi. Since his fifties, he has shown a style of painting in which he pursued a life in which he wanted to enjoy himself with the joy of seclusion to the flow of nature. The margins created a new beauty of helping and relying on each other, expressing the spirit of 'yu' by expressing the reclusive person's mind. Cho Hee-ryong, who was fascinated with on thought of the Chuangtzu, stands out for his unconventional personality in structure and technique and the mature beauty of Deugsueungsim. In 「MaehwaSeokdo」in particular, the weirdness of hand technique, which is freely drawn as a dynamic, playful brushstrokes of a wide-open plum flower and a modified dynamic and playful technique of Mijum contrasted with black and white colors, was harmonized with nature. Chen Gi's 「Solimchenggang」, who died at the age of 29, expressed a desolate, restrained beauty through the control of dry brush and large and small, thick and thin, thick and thin, full of a lonesome, concise feeling of life's futility. As such, they overcame discrimination and anger caused by their status to seek constant self-change, denying and criticizing the previous fixed framework rather than blindly following the existing aesthetic consciousness. Thus, the elegant taste was removed and the cheongi of natural nature was expressed in bold yet individual painting form, and the new knowledge culture was led by the promotion of Soyoo aesthetic of absolute freedom.

한국어

조선 후기(약 1700~1850년)의 사회·경제의 변화 양상은 조선의 신분 제도에도 영향을 끼쳐 양반 중심의 신분 질서가 흔들리기 시작했고, 성리학적 삶의 태도나 사유 방식으로는 더 이상 삶의 가치와 의미를 충분히 해소시켜 주지 못했다. 이런 시점에서 신분상 차별과 사회적 제약을 받았던 조선 후기 중서인 화가들에게 있어 다양한 寓話를 통해 현실세태를 풍자・비판하는 『莊子』的 심미는 유효한 문예적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기존의 제도화・규정화된 모든 것을 否定하는 否定의 심미·역설적 논리 정신을 통해 ‘無爲自然’으로 돌아가고자 했던 莊子的 사유를 자기화하여 창의적이고 개성적인 예술세계를 펼친 조선 후기 중서인 화가들은 사대부 문인들의 문화적 영향권에 머물지 않고, 자신의 성정에 의지하여 天機를 발현하는 독자적인 性情論과 더불어 手藝論을 강조하는 화법을 구사하는 등 양반사대부를 능가하는 예술적 성과를 이루었다. 조선 후기 중서인 화가들이 장자적 경향을 보인 이유는, 첫째, 신분제가 흔들리고 중앙정부로부터 민심의 이반이 본격화되면서 인간 삶에 대한 회의와 각성이 일어나고, 성리학 이외의 사상에서 삶의 방향과 의미를 찾으려는 예술적 동향이 모색되었기 때문이다. 둘째, 개성적 화풍과 새로운 기법을 통해 예술창작물로 발현하기에 장자사상이 적절한 예술심미를 제공하였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들은 자질과 능력에 비해 단지 신분이 낮다는 이유로 받았던 편견과 멸시를 회화를 통해 자신의 예술적 자부심을 표출하고, 순응하기 싫은 현실에 대한 울분의식을 거침없이 분출하였다. 李麟祥은 명문가 집안이지만 庶子출신이라는 신분적 배경이나 주변 환경 등에서 겪었던 차별과 갈등 그리고 고뇌를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 생명력 넘치는 회화로 승화시켰는데, 세속과 거리를 두고 自適其適한 초연함이 가득하다. 崔北은 ‘非古非今’의 독자성과 변혁을 끊임없이 추구하였다. 筆勢의 動을 통해 담박한 自然之道의 기괴한 野性美를 역설적으로 표현하였으며, 격식에 구애됨이 없는 자유분방한 천성은 장자적 경향을 보이며 삶의 기행으로 표출되고, 파격적 화풍으로 발현하였다. 金弘道는 天機와 功力을 통해 20대 초반에 이미 궁중화원으로 명성을 날려 가장 한국적인 그림을 그린 천재 화가로 평가받는다. 50대 이후 자연의 순리에 맞춰 隱居之樂으로 逍遙自適코자 하는 이상적 삶을 지향한 화풍을 드러내었다. 여백을 통해 有限相生의 새로운 遊心을 창출하였는데, 無己한 隱者의 내면의 흉중을 표현해 遊樂의 逸氣를 발현하였다. 莊子 사상에 심취했던 趙熙龍은 구도와 기법에 있어서 파격적 개성과 得手應心의 완숙미가 돋보인다. 특히 「梅花書屋圖」에서 흑백의 색채대비를 통해 음양대대의 조화를 이룬 활짝 핀 매화와 米點皴의 변형된 역동적・유희적 필치로써 자유롭게 그려내는 手藝의 기이함이 천지자연과의 조화로써 大巧美를 이루었다. 29세에 타계한 田琦의 「疎林淸江」은 形似의 엄밀함을 배제하고, 갈필을 구사하여 대상물의 핵심을 寫意的이며 簡逸한 화풍으로 묘사하였다. 전반적으로 淡泊한 절제미가 두드러지니 인생무상의 탈속적 고요함과 蕭散簡遠한 쓸쓸함이 화면 가득 느껴진다. 이처럼 이들은 신분으로 인한 차별과 울분을 초월·극복하여 기존의 심미의식을 맹목적으로 따르기보다는 이전의 고정된 틀을 부정하고 비판하면서 끊임없는 자기 변신을 꾀하였다. 그리하여 탈속적 雅趣와 자연본성적 天機를 대담하면서도 개성적 화풍으로 발현하며 절대자유의 逍遙遊 심미를 지향하는 등 신지식인 문화를 선도하였다.

목차

<논문요약>
Ⅰ. 들어가는 말
Ⅱ. 조선 후기 中庶人畵家의 莊子的 思惟
Ⅲ. 조선 후기 中庶人繪畵의 莊子的 傾向
1. 鬱憤을 초월한 大巧 지향
2. 得手應心의 天機 발현
3. 脫俗과 遊의 逸氣 추구
Ⅳ. 마무리하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도영 Kim, Do young. 예원예술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