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in Working Mothers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subjective hapiness on the depression of working mothers who are raising their children and to investigate alternatives to reduce their depression, and provide a practical program based on the study. In this study, we us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variables that affect the depression of the working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in the first stage, support of family, which is a sub factor of social support has a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In the second stage, parenting stre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working mothers. In the third stage, subjective hapines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depression of the working mothers.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uch as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and subjective hapiness of these mothers were revealed, and the implications of lowering the depression of mothers were discuss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한국어
취업모의 우울감에 대한 연구목적은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 및 주관적 행복감 변인들이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그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대안점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를 토대로 실천적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어떤 변수들 이 존재하는지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1단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하위요인인 친가 지지는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단계에서 양육스트레스는 취업모의 우울감에 정적인 영향 을 미쳤다. 3단계에서 주관적 행복감은 취업모의 우울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취업모의 사회적 지지, 양육스트레스, 주관적 행복감과 같은 변수들의 관계를 밝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취업모의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목차
Abstract
1. 서론
2. 연구방법
2.1 연구모형
2.2 조사대상 및 자료수집
2.3 측정도구
2.4 분석방법
3. 연구결과
3.1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3.2 주요 변수들의 기술통계량
3.3 주요 변수들 간의 상관관계
3.4 위계적 회귀분석 검증
4. 결론 및 제언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