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간호사를 위한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원문정보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최수경, 김진, 김세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effects of the 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on self esteem, communication, existenti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in nurse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with pre-posttest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63 nurses(30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33 in a control group)attending a bachelor program of C Colledge in G metropolitan city. The experimental group attended 7 sessions of a SCE(Spiritual Care Education) program. Sessions were 90 minutes each, held once per week for 7 weeks. The scores for self-esteem, communication, existenti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between October 10 and December 5, 2017 in an experimental group, April 24 and June 5, 2018 in a control group.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Fisher's exact test, independent t-test using SPSS/WIN 21.0. The existential well-being(p<.025)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p<.001) were significantly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uggest that this SCE program c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existential well-being and spiritual care competence of nurses.

한국어

본 연구는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능력, 실존적 안녕 및 영적간호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시차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는 G 광역시 C대학의 간호학 학사학위과 정 중에 있는 간호사 63명(실험군 30명, 대조군 33명)이었다. 실험군은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에 7회기 동안 참석하였으며, 회기는 회당 90분, 주 1회, 7주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군의 자료 수집과 실험 처치는 2017년 10월 10일부터 12월 5일까 지 시행되었고 대조군은 2018년 4월 24일에 사전조사, 6월 5일에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windows program을 이용하여 χ²-test, Fisher's exact test, 독립표본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이 대조군 에 비해 실존적 안녕(p<.025)과 영적간호역량(p<.001)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따라서 본 영적간호교육프로그램이 간호사 의 실존적 안녕과 영적간호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필요성
1.2 연구의 목적
1.3 연구 가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2.2 연구대상
2.3 연구도구
2.4 자료 수집 방법
2.5 윤리적 고려
2.6 자료 분석 방법
3. 연구결과
3.1 일반적 특성 및 동질성 검증
3.2 종속변수의 동질성 검증
3.3 가설 검정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저자정보

  • 최수경 Soo-Kyung Choi. 조선간호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진 Jin Kim. 전북과학대학교 간호학과 조교수
  • 김세영 Se-Young Kim. 기독간호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