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日本語學 / 日本語敎育

중세 韻書에 나타난 舌內撥音字의 한자음 연구 ― 呉音과 漢音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ino-Japanese of ““Chinese Characters Contained Final /t/”at Rhyme Texts in Muromachi Period

중세 운서에 나타난 설내발음자의 한자음 연구 ― 오음과 한음을 중심으로 ―

이승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current work, studies have been pursued on the system of Kana 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Chinese Characters contained Final /t/” in Muromachi period, mainly focusing on “Bunmeiban Syubuninryaku(文明版『聚分韻略』)” and “Ryakuin(略韻』)”, “Keichouban Syubuninryaku(慶長版 『聚分韻略』)”. Most of the main vowels were found to match with the basic main sounds in the Kan’ on of “Bunmeiban Syubuninryaku” and “Ryakuin”, “Keichouban Syubuninryaku”., The vowels of “Sansetsu(山摂)” appeared as [a] and [e] types, and “Jinsetsu(臻摂)” appeared as [i] type, [o] type, and [-u] type. The Kana 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Bunmeiban Syubuninryaku” and “Ryakuin” “Keichouban Syubuninryaku” showed a high degree of agreement with the Kan’on of “Bunmeisetuyousyu”, but “Go’on was slightly different from the general ““Go’on and Kan’on of “Rhyme Text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there is a strong similarity between the On system of Kana Notation of Chinese Characters of “Bunmeiban Syubuninryaku”and “Ryakuin”, “Keichouban Syubuninryaku”, and they are extremely close to each other in the system.

한국어

본고는 『聚分韻略』의 대표적 諸本인 慶長版 『聚分韻略』, 文明版 『聚分韻略』, 『略韻』의 한자음을 비교하여, 三書의 呉音, 漢音의 대립이 현저한 舌内撥音字를 중심으로 左右音注의 한자음의 주기 실태를 검토하고, 음주의 일치도를 비교함으 로써 『聚分韻略』 諸本의 상호관계를 규명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慶長版 『聚分韻略』, 文明版 『聚分韻略』, 『略韻』의 呉音漢音注는 『文 明本節用集』의 漢音과 일치도가 상당이 높았지만, 山攝, 臻摂 모두 呉音과 일치하는 자는 많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三書의 漢音 주모음을 보면, 山摂의 경우, [-a]형 과 [-e]형, 臻摂의 경우, 三書 모두 [-i]형, [-o]형과 [-u]형이 나타나, 三書의 呉音 漢音形은 대부분 기본적인 主母音이 일치한다고 할 수 있다. 단, 山摂 寒韻을 제 외하고, 모든 山摂과 臻摂에서 다양한 예외적인 음형도 다수 존재한다. 慶長版 『聚分韻略』, 文明版 『聚分韻略』, 『略韻』의 불일치자를 살펴보면, 多音字로 인한 차이가 대부분이었으며, 拗音注, 直音注의 有無의 차이로 인한 예가 소수 존재한다. 三書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三書는 기본적으로 다른 점이 없으며, 각각 중국 음의 계모의 모습은 거의 일치한다. 결국, 慶長版 『聚分韻略』, 文明版 『聚分韻略』, 『略韻』의 舌内撥音字에서 原音鼻 音韻尾 「ン」이 모든 音形에서 보이며, 『文明本節用集』에서는 [e厶]형도 소수 존재 한다. 이로부터 당시의 학문 세계에서 漢音, 呉音形이 어느 정도는 공통하고 있었지만, 『略韻』과 『聚分韻略』 諸本에 따라서는 다른 音形도 소수 존재함을 알 수 있다. 현존 『略韻』 및 慶長版과 文明版 의 제본에 가점된 중세 漢音, 呉音注는 유 사한 형태가 많아 총체적으로 보면 각 韻書간에는 강한 유사성이 인정된다. 환언 하면 이들은 서로 극히 가까운 계통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목차

<요지>
1. 서론
2. 선행연구
3. 諸 韻書의 音注가점 상황
3.1. 文明本節用集
3.2. 文明版『聚分韻略』
3.3. 『略韻』
3.4. 慶長版 『聚分韻略』
4. 諸 韻書에 있어 舌内撥音字 音形의 분포 상황
4.1. 舌内撥音字의 呉音과 漢音 音形
5. 諸 韻書의 舌内撥音字 한자음 비교
5.1. 山摂
5.2. 臻摂
6. 각 韻書의 일치도
7. 결론
참고문헌(Reference)

저자정보

  • 이승영 Lee, sungyoung. 광운대학교 인제니움 학부대학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