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高宗代 몽골의 親朝 요구와 고려의 대응

원문정보

Mongol’s demand of King’s attendance to the Mongol court and the interaction of Goryo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고종대 몽골의 친조 요구와 고려의 대응

허인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ngolia, which invaded during the reign of King Gojong, wanted to apply its traditional world view to its relations with Goryeo. Throughout the reign of King Gojong after the first contact between the two countries during the Battle of Gangdongseong, they continued to demand Goryeo's royal friendship, as Mongolia accepted it as a practical submissive position. It was inevitable that there would be a conflict with the consideration of maintaining the existing format of serving a large country. Mongolia invaded the Goryeo Dynasty and attacked the southern part of the Goryeo Dynasty. However, it recognized that it was not easy to subjugate the Goryeo Dynasty as the war continued for a long time. In order to concentrate all efforts on the Southern Song dynasty, King Gojong changed his attitude from the 40th year of King Gojong's reign to the demand for the royal prince's landing and surrender to the royal court or to the king's surrender. In line with this change, the Goryeo Dynasty, which suffered serious damage due to the war with Mongolia, cannot only maintain the format of serving a large country. Goryeo refused to support the king, and revised its course in a way that allowed the Crown Prince. This means that during Gojong's reign bilateral relationship was a process of finding a compromise knowing that it was difficult to unilaterally force or demand. The relatively weak Goryeo was able to produce such a compromise because it had that much power.

한국어

고종대 고려를 침입한 몽골은 고려와의 관계에서도 그들의 전통적 세계관을 그대로 적용시키고자 했다. 강동성전투 시기 양국의 첫 접촉 후 고종 재위 기간 내내 그들은 줄곧 고려에게 군주의 친조를 요구했는데, 이는 몽골이 친조를 실질적인 복속의 자세로 받아들이기 때문이었다. 기존의 사대관계라는 형식을 유지하려는 고려와 갈등이 빚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몽골은 고려를 침입하여 고려의 남부지역까지 공격을 하며 고려의 복속에 온힘을 기울였으나, 장기간 전쟁이 지속되면서 고려를 복속시키기가 쉽지 않다는 사실을 인정하였다. 아울러 남송 정벌에 전력을 다하기 위해 고종 40년부터는 친조 강요에서 벗어나, 태자 친조나, 국왕과 태자의 출륙 항복 요구 또는 태자의 군전 항복으로 태도를 바꾸기도 했다. 이러한 변화와 맞물려 몽골과의 전쟁으로 인해 피해가 심각해진 고려도 사대관계만을 고집할 수 없게 되었다. 고려는 국왕 친조는 거부하면서, 태자 친조는 허용하는 방향으로 노선을 수정하였다. 이는 고종대 양국관계가 일방적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요구를 강요하거나 요구하기 어렵다는 점을 알고 타협점을 찾아가는 과정이었음을 의미한다. 상대적으로 약자인 고려가 이러한 절충안을 도출할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의 저력을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종대 대몽항쟁은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만한 가치가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친조 강요와 몽골의 세계관
Ⅲ. 친조 요구에 대한 고려의 대응
Ⅳ. 맺음말을 대신해서 -인식의 충돌에서 타협으로-
<국문초록>

<참고문헌>

저자정보

  • 허인욱 Heo, In-Uk. 한남대학교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