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G.W.F. Hegel(1770-1831) and Su-woon Choi Je-woo(水雲 崔濟愚. 1824- 1864) faced up the contradictions what the modern society have faced and suggested the ideal society to overcome those contradictions. Hegel suggested the constitutional monarchy as the completion of the humanity(人倫性) that developed morality(道德性), and Su-woon Choi Je-woo suggested a community of virtuous gentleman who moved from a world of mutual concern to a world of only concern about only one’s personal issue In ideal society theory, the decision order between behind consciousness reform and social reform became the main issue. In the discussion of the community of virtuous gentleman, the consciousness reform is considered relatively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reform. On the other hand, social reform was relatively important in the constitutional monarchy. And there are also other differences about the way how to practice ideal society. The constitutional monarchy aimed at an ideal society by pursuing a system of desire through civil society. However, the community of virtuous man who reach ideals through the process of restoring spirituality along the absolute order (logic) in one’s minds has different character. And there is also a considerable gap between ideal society and the real society. In this study, we want to analyze those three problems and suggest the possibility of reasonable methods and perspectives to approach them. The following facts has revealed by those discussions. First of all, the sudden social transformation can causes serious confusion in consciousness, so the level and degree of consciousness reform should be take into account. Secondly, methods, such as moral discipline, social effort, and institutional reform are needed to realize ideal society. To solve problems of the gap between ideal and reality, We must try to find a deadlock between the language of desire and the language of reason.
한국어
헤겔과 수운 최제우는 근대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모순을 직시하고 이 모순 을 극복하기 위하여 이상사회를 제시하였다. 헤겔은 도덕성을 지양한 인륜성 의 완성으로서 입헌군주제를 제시하였고, 수운 최제우는 각자위심의 세상에 서 탈피하여 동귀일체의 세상을 지향한 군자공동체를 제시하였다. 이상사회론에서는 의식개혁과 사회개혁의 선후 문제가 쟁점이 되었다. 군 자공동체 논의에서는 의식개혁이, 입헌군주론에서는 사회개혁이 상대적으로 중시되었다. 또한 이상사회를 실천하는 방법에서도 차이가 있다. 시민사회를 매개로 욕망의 체계를 지향함으로써 가능한 입헌군주제와 시천주의 각성을 통한 영성회복 과정에 의해 도달한 군자공동체는 성격이 다르다. 또한 이상 사회와 현실사회의 간극의 문제가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세 가지 문제를 분석하여 이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합당한 방법과 시각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서 밝 혀진 사실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급작스런 사회변혁은 의식의 혼란을 초래하 므로 의식개혁의 수준과 정도를 고려해야 한다. 둘째, 이상사회를 실현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덕적 수양과 사회적 노력 그리고 제도개혁 등의 적극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이상과 현실의 간극의 문제는 욕망의 언어와 이성의 언어 의 교착점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목차
1. 열린사회와 이상사회의 이념
2. 후천개벽과 군자공동체
4. 인륜적 이성과 입헌군주제
5. 이상사회 담론의 현재성
6. 이상사회의 조건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