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중(韓中) 관우의례(關羽儀禮) 비교 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n Rituals of GuanYu between Korea and China

상기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aper proposes to get into the rituals of ‘GuanYu’ performed both by Korea and China. The ‘GuanYu’ gods are known to possess the godhood of war, and are destined to become gradually the almighty god. In the ritual ceremonies both the public officials and people in general participate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good luck. The rituals are observed usually on the anniversary of birth and death of ‘GuanYu’, and also a festive days & the subdivisions of the seasons. The belief in GuanYu in Korea was known to be established as GuanYuMiao, which was observed by the Ming’s army generals during the RenChenWoLuan. In China, the GuanYu rituals were inaugurated in the Song Dynasty. It was treated first as Marquis and later Duke and after it was promoted to the King. During the era of the Mings, it reached to the Imperial Position. In terms of the national celebration, the GuanYuMiao was situated at the same level of the Confucian Sanctuary. With reference to the GuanYu Belief in particular in Korea’ GuanShengJiao is an almighty monotheistic one, closely related with Shamans. The present rituals observed in Korea are for the following GuanWangMiao in Seoul: the NanMiao, DongMiao, ShengDiMiao, GuanShengMiao. The rituals are observed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on January 1, January 7, JingZhe, QingMing, April 8, DuanWu, May 13, June 24, QiuXi, ShuangJiang, October 19, DongZhi, on ChuXi & ShuoWang of each month. Based on the GuanWu beliefs, one can find the influences of Confucianism, Buddhism & Taoism, and also some strong air of Shamanism. Nowadays in China the three major GuanLin are celebrated such as LuoYangGuanLin, DangYangGuanLing and JieZhouGuanDiMiao. The rituals observed by the official & popular sectors are based upon the Confucianism & Buddhism, but characterized by the influence of Taoism.

한국어

한중 양국 관우의례는 대동소이하고 모두 역대 통치자들에 의해 황권강화와 국태안민에 활용되었다. 관우는 무신・수호신・재신의 신격에서 점차 만능신으로 자리매김한다. 치제는 관민이 관우의 생졸일, 수봉일, 명절과 절기를 중심으로 거행한다. 한국의 관우신앙은 임진왜란 때 명장들에 의해 관왕묘가 건립되면서 시작된다. 중국의 관우신앙은 송대부터 출발하며 지위는 후→공→왕을 거쳐 명대에 제까지 오른다. 관우묘는 소사에서 중사로 승격되고 이후 국가제전에서 문묘와 대등해진다. 한국의 관성교는 유일신이자 만능신으로 전내무 중심의 전승체계가 독특하다. 현행 한국의 관왕묘 의례는 서울의 남묘・동묘・성제묘・관성묘를 대상으로 한다. 제사는 매년 음력 1월 1일・1월 7일・경칩・청명・4월 8일・단오・5월 13일・6월 24일・추석・상강・10월 19일・매월 삭망 등 13여 일 거행한다. 시간은 8시, 12시, 15시, 17~18시경, 22시로 일정치 않다. 유불도 요소를 지니며 특히 무속적 성격이 강하다. 관사는 조선조의 규범을 완전히 계승하지 않았고, 민사에서 일부 전승되며 주재자는 대개 무속인과 상인이다. 현행 중국의 관제묘 의례는 3대 관림인 낙양관림・당양관릉・해주관제묘를 대상으로 한다. 현행 ‘금추대전’은 명청대 의례를 재현하고 관민이 함께 주도한다. 국가사전으로 태뢰의 예를 따르며 명대에 춘추・사맹・5월 13일・동지・제석; 청대에는 1월 1일・9월 13일을 포함시킨다. 민사에선 1월 삭망・13일이 첨가되며, 해주 관사는 4월 8일・6월 24일로 확대 거행한다. 이중 농사철인 4월 8일이 가장 성대하다. 관사는 유불도, 민사는 민간신앙을 바탕으로 특히 도교적 성격이 강하다.

목차

논문요약
Ⅰ. 서론
Ⅱ. 한국의 관왕묘 의례
Ⅲ. 중국의 관제묘 의례
Ⅳ. 결론: 한중 관왕묘 의례 비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상기숙 Sang, Key sook. 한서대학교 중국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