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Crisisonomy

Multicultural Acceptance of Natives and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of Migrant Adolescents in Korea -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

원문정보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과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분석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Jin Bae Sul, Eun Kook Lee, Ji Hae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influence of Korean native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elf-concept and school achievement among migrant background youth, using the five-year longitudinal data (2013-2017) from KELS 2013. It also examines the interaction effects of multicultural acceptance and social support. The results show that: (i)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diversity) of natives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family self-concept but negative impact on the physical self-concept of migrant adolescents; (ii)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relationship)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migrant adolescents; (iii) social support plays significant roles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natives’ multicultural acceptance on migrant adolescents’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need of continued policy efforts to improve the acceptance of multiculturalism and to expand the social support system for migrant adolescents in Korea.

한국어

본 연구는 KELS 2013의 1-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여,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와 다문화수용성의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다양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가족 자아개념에는 정(+), 신 체 자아개념에는 부(-)의 영향을 미쳐, 주류사회가 문화다양성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환경일수록, 이주배경 청소년의 가족 자아개념은 증가하고, 신체 자아개념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관계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일반가정 청소년들이 다문화 친구와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환경일수록 이주배경 청소년의 학업성취도도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셋째, 상호작용의 일부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 나,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이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사회 적 지지가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와 발견은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 제고 및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기반 확대를 위한 지속적인 정책적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의 검토
1.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과 학업성취
2. 환경으로서의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
3.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과 이주배경 청소년의 사회적지지,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
Ⅲ. 연구방법
1. 데이터와 표본
2. 변수의 측정
3. 분석 방법 및 모형
Ⅳ. 분석결과
1. 기술통계
2. 패널모형 분석: 선주민의 다문화수용성과 이주배경 청소년의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의 관계
3. 상호작용효과 분석: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Ⅴ. 논의 및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국문초록

저자정보

  • Jin Bae Sul Institute of Public Affairs,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Korea
  • Eun Kook Le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Yonsei University, 50 Yonsei-ro, Seodaemun-gu, Seoul, Korea
  • Ji Hae Kim Graduate School of Governance, Sungkyunkwan University, 25-2 Sungkynkwan-ro, Jongno-gu, Seoul, Kore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