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방 이후 김동인의 소설과 친일 청산을 위한 자기합리화

원문정보

The Novels of Kim Dong-in after the Liberation and Self-rationalization for eradication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하상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o-Japan literary me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sert that there is a greater heteronomy aspect than the autonomy aspect since their pro-Japan activities during the colonial period were a inevitable choice attributable to the oppression of the Japanese rulers and deed for people. However, the cooperative writings in favor of Japan before the liberation and the task of eradication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after the liberation have the same implication in fact. Thus considered, it was the outcome of the voluntary survival strategy to protect their own interests from the realistic crisis that they were encountered with. In this point, bringing the critical issue on the pro-Japanese collabora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may approach to the empirical truth by paying attention to the narratives of oblivion and distortion appeared in the writings of those pro-Japanese writers after the liberation. In the novel of Kim Dong-in, 「The Traitor」released after the liberation, Kim Dong-in made Lee Gwang-soo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criticism of the pro-Japanese writers as the main character to emphasize that his record was completely irrelevant to pro-Japanese collaboration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addition, Kim Dong-in released 「Manggukingi (Story of Man from Fallen Country)」 and 「Sok- Manggukingi (Sequel to Story of Man from Fallen Country)」, and through these two novels, he asserted that he devoted his life to keep the innocence in literature far from anything in political sector. Especially, he emphasized more than anything else that he was the man of literature who dedicated his full endeavors in using the language of Joseon to demonstrate his national spirit without complying with the Japanese Rulers, and this is attributable to the fact that the novel writing of Kim Dong-in based on such self-rationalization comes from his detailed calculation to place the highest priority in fending off the criticism on his pro-Japanese collaboration activities at the en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ith the focus on these issues, this article analyzes the narratives of oblivion and distortion appearing in the novel of Kim Dong-in, and through this effort, it intends to take a look at the critical view on the attitude of self-rationalization displayed in the process of executing the encountered issue of the eradication of pro-Japanese collaboration.

한국어

일제 말 친일 협력 문인들은 식민지 시기 자신들의 친일 행위가 일제의 외압과 민족을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으므로 타율적인 측면이 많았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해방 이전 친일 협력적 글쓰기와 해방 이후 친일 청산의 과제는 당면한 현실의 위기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려는 자발적 생존 전략이었다는 점에서 사실상 동질적인 의미를 지닌다. 이런 점에서 일제 말 친일 협력에 대한 비판적 문제제기는 친일 문인들의 해방 이후의 글쓰기에 나타난 망각과 왜곡의 서사를 주목함으로써 진실에 다가설 수 있다. 해방 이후 발표된 김동인의 소설 「반역자(反逆者)」에서 일제 말 자신의 행적은 친일과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당시 친일 문인 비판의 중심에 있었던 이광수와의 철저한 거리두기를 시도했다. 또한 김동인은 「망국인기(亡國人記)」, 「속 망국인기(續 亡國人記)」을 통해 자신은 평생을 정치적인 것과는 무관한 자리에서 문학이라는 순수성을 지켜오는 데 힘썼다고 주장했다. 특히 그는 일제에 영합하지 않기 위해 끝까지 조선어를 사용하여 민족정신을 알리는 데 모든 공력을 쏟은 문학주의자였음을 무엇보다도 강조했는데, 이러한 자기합리화에 바탕을 둔 김동인의 소설 쓰기는 일제 말 자신의 친일 행적에 대해 쏟아질 비판을 최우선적으로 씻어내려는 치밀한 계산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본고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해방 이후 김동인의 소설에 나타난 망각과 왜곡의 서사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그가 친일 청산이라는 당면 과제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보인 자기합리화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살펴보고자 했다.

목차

요약문
1. 해방 이후 친일 청산의 과제와 소설 쓰기
2. 이광수의 친일 행적에 대한 비판과 변명의 이중성 : 「반역자」
3. 망각의 서사와 왜곡된 증언 : 「망국인기」, 「속 망국인기」
4. 김동인의 친일과 ‘동인문학상’을 통한 선양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하상일 Ha, Sang Il. 동의대학교 한국어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