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1930년대 대중극단 신무대의 연쇄극 <홍길동전> 제작 과정과 의의에 관한 일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n the Story of Hong Gil-dong as the Kino Drama Produced by Shinmoodae in the 1930s

김남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is a study on Story of Hong Gil-dong performed in the 1930s popular theater Shinmoodae. Since September 1932, Shinmoodae has improved the system and goals of the theatrical company and started to produce kino drama. The previous Shinmoodae aimed to play a drama based on the production of comedy, so the policy of kino drama meant that the direction of management and production was changed. In the transformation of this policy, which succeeded when Na Un-kyoo joined the theater, Story of Hong Gil-dong was a leading pioneering work that experimented and led the production of kino drama. Moreover in Korean culture and art world, the scenarios and drama scripts that were adapted from Story of Hong Gil-dong were very rare. Therefore, the case of Shinmoodae is a leading example of the possibility of changing the contents of Story of Hong Gil-dong.

한국어

이 논문은 1930년대 대중극단 신무대에서 공연한 <홍길동전>에 대한 연구이다. 신무대는 1932년 9월부터 극단의 체제와 목표를 정비하고, 연쇄극 제작에 나섰다. 그 이전의 신무대가 희극 제작을 기조로 하는 연극을 지향했기 때문에, 연쇄극 제작 방침은 극단의 운영과 작품 제작 상의 방향 전환을 의미한다고 하겠다. 나운규의 합류로 이루어진 이러한 방향 전환에서 <홍길동전>은 연쇄극 제작을 실험하고 선도하는 선구적 작품에 해당했다. 더구나 조선 문화 예술계에서 그 이전까지 <홍길동전>을 활용하여 시나리오나 희곡 대본을 산출한 사례가 드물다고 할 때, 신무대의 제작 사례는 <홍길동전> 콘텐츠의 변화 가능성을 타진한 실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문
1. 콘텐츠 변환 사례로서의 연쇄극
2. 대중극단 신무대 제 3기 상황과 전후 맥락
3. 연쇄극 <홍길동전>의 제작 과정
4. 1일 3작품 공연 체제 하에서 정극 콘텐츠로의 변화
5. 두 장의 사진으로 재구한 연쇄극 <홍길동전>의 주요 장면
6. 신무대의 연쇄극 제작이 지니는 의미와 영화사적 맥락
7. 연쇄극 <홍길동전>의 의의와 콘텐츠 <홍길동전>의 새로운 발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남석 Kim, Nam Seok. 부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