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감사위원회 기능 강화를 위한 내부감사 보조조직의 역할

원문정보

Establishing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Internal Audit to Support the Audit Committee Role

윤승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ternal auditors’ primary role is to evaluate objectively and report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mpany’s risk management, control, and governance processes, including the company’s adherence to regulatory compliance requirements. Regular communication between the audit committee and internal audit is an important responsibility for each party. The Institute of Internal Auditors defines the internal audit function as “an independent, objective assurance and consulting activity designed to add value and improve an organization’s operations. It helps an organization accomplish its objectives by bringing a systematic, disciplined approach to evaluate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risk management, control, and governance processes.” This function has grown to become an integral component of a system of sound corporate governance. Corporations need an adequate audit program. Ideally, the audit function will consist of a full-time, continuous program of internal audit, coupled with a well-planned external auditing program. Such a system would substantially improve an institution’s risk management and control efforts. The internal audit function is a critical element in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nal control system. When properly structured and conducted, internal audit provides directors and senior management with vital information about weaknesses in the system of internal control so that management can take prompt, remedial action. The board of directors and senior management are responsible for ensuring that the system of internal control operates effectively. Their responsibility cannot be delegated to others: not to anyone within the corporation nor to outside parties.

한국어

감사위원회의 업무는 매우 방대하고,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전문지식뿐만 아니라 기 업 정보에 대한 접근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러나 회의체로 운영되며 대부분 사외이사로 구성된 감사위원회는 일상적인 업무감사를 포함하여 광범위한 감독업무를 직접 수행하는 데 분명한 한 계가 있다. 감사위원들은 회사내부정보에 접근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업무현황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감사위원회 감사업무의 질적 향상과 정보의 수집 및 감사업무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이들 업무를 지원하는 인적·물적 시설을 갖춘 내부감 사 보조조직이 반드시 필요하다. 현실적으로 내부감사 보조조직의 설치와 운영에 대하여 경영진을 견제할 법적인 기준이 없기 때문에 그 실효성은 전적으로 경영진의 의지에 맡겨둔 상황이다. 따라서 상법에서도 금융회사 지배구조법과 마찬가지로 감사보조조직의 인적·물적 지원근거가 되는 조항을 마련할 필요가 있 다.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상근 조직의 설치를 넘어서 경영진도 이를 실질적으로 준수할 수 있도 록 앞서 살펴본 미국의 사례와 같이 법령과 상장규정 및 모범규준 등을 통해서 체계적인 시스템 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감사위원회는 내부감사기구가 수행하고 있는 업무, 수행 가능한 다 른 업무 및 내부감사에 대한 경영진의 목표를 이해하여야만 내부감사업무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합의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역할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내부감사 최고책임 자와 내부감사 보조조직의 공동 노력과 함께 경영진, 이사회, 감사위원회, 공인회계사 및 규제기 관과의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이 반드시 필요하다. 감사위원회의 업무를 보조하는 인적조직은 회사의 일상적인 업무활동을 감독해야 하는 그 직 무의 특성을 고려해볼 때 회사 내부의 조직과 회사외부의 조직을 효율적이고 유기적으로 연결하 여 시너지 효과를 내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회사내부에서 이러한 조직을 갖추기 위해서는 이와 관련한 법령 또는 정관에 의한 제도적 뒷받침과 더불어 지배구조 보고서에 내부감사 보조조직과 관련한 구체적 사항을 의무적으로 공시하는 방안이 실효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국내 내부감사기구의 현황
Ⅲ. 해외의 내부감사관련 규정
Ⅳ. 내부감사 보조조직의 개선방안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윤승영 Seung Young Yoon.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조교수/법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