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하늘 속의 하늘 - 『노자하상공장구』의 역사 철학적 이해 -

원문정보

Historical Ontology in the HoShang Kung’s Commentary on the Lao Tzu

임형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is aiming to reveal the historical ontology in the HoShang Kung’s Commentary on the Lao Tzu(HSKC, abb. below). There is no reason to deny that the central idea of HSKC is the macrobiotic hygiene, but this essay tries to reestablish its historicophilosophical concept around the Sage, based on the fact that it was affected by the Classic studies as the leading scholarship at the Han dynasty. After my own reading on the commentaries of Chapter 1, HSKC, I can find that they are divisible to 2 horizons called the Nothing serial horizon and the Being serial horizon. The subject of this essay is limited to its historical philosophy, so I just cut off the Nothing horizon. The Being horizon, because this essay is aiming to describe the historical philosophy of HSKC, is also divisible to 4 subhorizons called H1, H2, H3, H4. In this essay, I discuss three horizons except H4, because I already wrote another essay to discuss it. H1 is the first beginning times of mankind called Taigu, as a longlasting prehistorical period. H2 is another beginning times of civilization and history called Shanggu, the Sage appears as its producer at last. H3 is the second times after H2, that its turning point was the Yin ShangZhou Revolution. In HKSC, these are regarded to have some differences among as below: H1 is the ideal state called Taiping, which can be able to adapt a newborn baby metaphor. H2 is the times which appears signifié=characters after the inventing of signifiant by the Sageking called Sanhuang, Wudi and Changjie. H3 is the times that exposes the dark side of civilization, which is the continuum of H2. And I reveal that Taoism later on the future will use the Taiping as an eschatological term, but not HSKC.

한국어

『하상공주』의 중심 사상이 양생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하상공주』가 형 성된 한나라 때의 주도적 학술이 경학이라는 점, 성인이 중심에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본 고는 성인을 중심으로 『하상공주』의 역사 철학을 재구하려고 시도한다. 우선 『하상공주』 제1장의 주문을 성인론의 입장에서 다시 독해한 다음, 무/유 계열 2개 지평으로 나눌 수 있으며 무 계열은 존재론의 층이라는 점을 밝혔다. 역사 철학의 입장에서 논의 대상은 유 계열로 한정된다. 유 계열 지평은 다시 하위 지평1, 2, 3, 4로 나눌 수 있다. 그중 『하상공주』 지은이가 처한 현재적 현실인 지평4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지평을 논한다. 지평1은 태 고이며 문명=역사 이전이다. 지평2는 상고이고 문명=역사의 시점이며 성인이 등장하는 때이다. 지평3은 은주혁명 이후 중고이고 전장제도가 정립되는 시대이다. 지평 간 차이 는 지평1이 태고=태평의 이상적 상태라는 점과 갓난아기 은유가 적용된다는 점이고, 지 평2가 기의의 발명, 그것을 이어 기표=문자가 등장하는 시대라는 점이며, 지평3이 지평2 의 연장이지만 더욱 정교해지면서 문명의 부작용을 드러내는 시대라는 점이다. 지평1=태 평은 후세 도교에서 종말 이후를 가리키게 되지만 『하상공주』에는 아직 종말론이 없다는 점도 밝혔다.

목차

<한글요약문>
1. 들어가는 말
2. 『하상공주』 제1장의 요점
3. 유 계열 지평들
1) 하위 지평1
2) 하위 지평2
3) 하위 지평3
4.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임형석 Lim, Hengseok. 경성대학교 중국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