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서(恕), 환대(歡待), 인정투쟁(認定鬪爭) - 상호주관성의 은유적 형식들 -

원문정보

Shù(恕)·Hospitalité·Struggle for Recognition - Metaphorical forms of Intersubjectivity -

이향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hù(恕) is a word that represents an attitude toward the Intersubjectivity of Confucianism. This contrasts with the word is Struggle for Recognition and Hospitalité. This article attempts to compare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metaphorical forms of intersubjectivity. Man as a Merchant , This is the metaphorical foundation of the Shù. Man as a Traveler , This is the metaphorical foundation of the Hospitalité. Man is a Warrior , This is the metaphorical foundation of the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combination of the conceptual system of life with the conceptual system of markets, places and battlefields resulted in this conceptual metaphor.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 components of this hybridity are proposed as channels for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relationships experienced in life. In the case of Shù, give and take, In the case of Hospitalité, the visit and the reception of the guests, In the case of Struggle for Recognition, the attack and the counterattack, These three forms of behavior were mobilized as metaphorical sources that partly capture aspects of interrelationships. These words have refined their semantics and given depth and diversity through variations in these basic structures. In the case of Shù, Four aspects are distinguished through an affiliate called the column of Shù. The first Shù is practiced amid uncertainty about the possibility of an unknown batter's action. From the second, the action taken in the previous phase is implemented in consideration of the recursive effects and the increasingly known nature of the other person. The last Shù shows a unilateral aspect that blocks the possibility of a batter's recursive behavior through self-immolation. The remaining people embody this as a practice for another person. This creates a kind of meam. An infinite Shù of 'flowing' between humans will emerge.

한국어

서는 유학의 상호주관성에 대한 태도를 대변하는 낱말이다. 환대와 인정투쟁은 서와 비 교될 수 있는 또 다른 낱말들이다. 이글은 상호주관성의 은유적 형식들이라는 관점에서 이들을 비교 검토해보려고 한다. 이렇게 볼 때 서는 「인간은 상인」, 환대는 「인간은 여행 자」, 인정투쟁은 「인간은 전사」라는 개념적 은유에 기초를 두고 있다. 인생이란 개념체 계가 시장, 장소, 전장이라는 개념체계와 뒤섞인 결과 이런 개념적 은유가 나타났고, 이런 혼성의 구성 요소들 사이의 상호 관계가 인생에서 겪는 상호관계의 특징들을 파악하는 통로로서 제안된 것이다. 서의 경우는 주고-받기가, 환대의 경우에는 ‘방문-맞이’가, 인 정 투쟁의 경우에는 공격-반격이 상호관계의 양상들을 부분적으로 포착하는 은유적 원 천으로 동원되었다. 나아가 이 낱말들은 이런 기본 구조에 대한 변형을 통해 자신의 의미 체계를 정교화하고 깊이와 의미 다양성을 부여했다. 서의 경우 서의 수열이라는 계열체 를 통해 네 가지 양상이 구별된다. 첫 번째 서는 알려지지 않은 타자의 행위 가능성에 대 한 불확실성 속에서 실천된다. 두 번째 서 이하에서는 그 이전 단계에서 이루어진 서의 실천이 가져다주는 재귀적 영향과 점점 알려지는 타자의 성격에 대한 고려 속에서 실천 된다. 마지막 서는 자기희생을 통해 타자의 재귀적 행위 가능성을 봉쇄하는 일방적인 ‘은 혜 베풀기’의 양상이 나타난다. 남아있는 타자들은 이 되돌려줄 수 없는 불가능성을 또 다 른 타자에 대한 서의 실천으로 구현해낸다. 이렇게 해서 일종의 ‘밈meam’으로서 인간들 사이를 ‘흐르는’ 무한의 서의 가능성이 나타난다.

목차

<한글요약문>
1.
2.
3.
4.
5.
6.
7.
8.
9.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이향준 Lee, Hyang-Joon. 전남대학교 철학과·철학연구교육센터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