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다언어문화사회 인도의 포용적 언어교육정책과 한국에 대한 시사점 - 인도 3개 언어교육정칙의 내용과 성과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Inclusive Language Education of India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 - Focusing on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Three Language Formula in India -

신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sed at the implementation and performance of language policy through case studies of India and provided the implications for Korea. First, the study examines the language policy of India which is a multilingual cultural society through Three Language Formula(TLF). Next, it is analyzed practices and results of TLF that maintains the multilingual and multicultural society and competitiveness through inclusive language polic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al of the TLF in India was ‘social integration, pursuit of diversity,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This attempted ‘social integration based on maintaining multilingualism’. Second, Indian students can learn three languages including their ‘mother tongues’, thereby enabling practical language diversity. Third, the target of the policy was not to distinguish language groups, and it was a universalized and regularized policy that proceeded with the formal education process in India. Fourth, the TLF was practiced continuously for about 50 years. At present, India has no social conflicts among language groups. After completing 12 years of schooling, students are fluent in three languages, including their mother tongues, Hindi and English, and various languages are maintained. So, the goals of TLF were achiev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anguage policy for true social integration should be carrying with ‘maintaining multilingualism’. Second, for increasing the linguistic competitiveness of students in multilingual society, it is necessary to utilize the ‘educational medium language’ and ‘contact languag’ in language plans. Third, the multicultural language education should be transformed and expanded, and policy sustainability and universality should be guarante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not only contents but performances of the inclusive multilingual policy of India and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to achieve the policy goals.

한국어

본 연구는 포용적인 언어정책을 통해 국민화합과 동시에 다양성을 지켜가고 경쟁력 도 확보하고 있는 인도의 다언어교육정책을 분석하고, 한국에 주는 시사점을 살펴본 것 이다. 이 논문에서는 언어정책의 핵심 사안인 정책목표, 정책대상, 정책수단과 이에 따 른 정책성과를 중심으로 ‘3개 언어교육정칙’을 분석했고, 정책의 성과 평가를 위해 문헌 및 통계자료와 20-30대 인도인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도 3개 언어교육정칙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도 3개 언어교 육정칙의 목표는 ‘사회통합, 다양성 추구, 경쟁력 강화’로 ‘다언어 유지를 바탕으로 한 사회통합’을 시도했다. 둘째, 학생들이 자신들의 ‘모어’를 포함한 3개 언어를 교육받을 수 있도록 하여 실질적인 언어의 다양성 추구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셋째, 정책의 적용 대상이 모든 학생으로, 언어집단을 구분하지 않았으며 전인도의 정규교육과정으로 진 행되어 보편화, 정례화 된 정책이었다. 넷째, 인도의 3개 언어교육정칙은 약 50년 간 지 속적으로 시행되었다. 현재 인도는 언어문제로 사회적으로 큰 갈등이 겪지 않고, 12년 학교교육을 마친 학생은 모어, 힌디어, 영어 등의 3개 언어에 능통하며, 다양한 모어가 유지되고 있어, 3개 언어교육정칙은 ‘사회통합’, ‘경쟁력 강화’, ‘다양성 추구’ 목표를 달성한 것으로 평가된다. 본 연구가 한국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사회통합을 위한 언어정 책은 ‘다언어 유지’와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둘째, 다언어사회에서 학생들의 언어적 경 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매개어’와 ‘접촉 언어’에 주목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방안 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언어교육의 정책 적용 대상자 전환 및 확대, 정책의 지속성과 보편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기존 연구가 정책 내용만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한국에 시사점을 제공한데 반해, 본 연구는 인도의 포용적 다언어정책의 ‘내용과 성과’를 종합하여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정책 목표 달성과 언어적 성과를 높일 방향을 제시했다는 데 의 의가 있다.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Ⅱ. 선행연구검토
1. 다문화사회의 언어교육정책
2. 다문화 국가의 언어교육정책에 대한 국내연구
3. 한국의 다문화 언어교육정책
Ⅲ. 연구방법
1. 다언어 교육정책내용 분석 방법
2. 정책성과 분석 방법
Ⅳ. 인도의 포용적 다언어교육정책과 성과분석
1. 독립이후 다언어 교육기반 수립
2. 다언어교육 핵심정책 – 3개 언어교육정칙
3. 3개 언어교육정칙의 성과
4. 소결
Ⅳ.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신진영 Shin, Jin-Young. 한국외국어대학교 인도연구소, HK+ 연구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