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蓀谷’의 장소성과 蓀谷 李達의 한시

원문정보

The Placeness of ‘Songok(蓀谷)’ and the Chinese poetry by Songok(蓀谷) Lee Dal(李達)

‘손곡’의 장소성과 손곡 이달의 한시

김금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s a poet in the reign of King Seonjo in the Joseon Dynasty, Lee Dal lived in Songok, Wonju-si. So far, most of the researches on Sino-Korean poetry by Lee Dal did not pay attention to the place Songok. Thus, this thesis traced the meanings of ‘Songok’ as a place realized in his poetry. In the poetic space of Sino-Korean poetry by Lee Dal, Seoul has the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all together. And Seoul has the centripetal force as a place for socially associating with other writers of the time. Just like longing for Seoul in another province as a traveler, the poet longs for his hometown even in Seoul. The hometown is a space that is concluded as a pivot in the rivalry of centripetal force and centrifugal force shown in Lee Dal’s poetry. The concrete place of hometown materialized in the poetry is Songok, Wonju. That place is the poet’s hometown which is settled down as a pivot in his heart, including his own house ‘Songokjang’. Even when moving toward the direction of centrifugal force by wandering everywhere, he could maintain the centripetal force because there was Songok as a pivot. As the centrifugal force moving to inner side by protecting the poetic ego, Songok in Sino-Korean poetry by Songok Lee Dal is the core of a place for converging through the centripetal force after being scattered to many places.

한국어

이달은 조선 선조 때의 시인으로, 원주의 손곡에 살았던 인물이다. 지금까지 이 달의 한시 연구에서 손곡이라는 장소는 별로 관심의 대상이 되지 않았다. 이에 본 고에서는 그의 시 속에 구현되어 있는 장소로서의 ‘손곡’의 의미를 추적해 보았다. 이달 한시의 시적 공간에서 서울은 구심력과 원심력이 공존하는 곳이다. 무엇보 다 서울은 당대의 다른 문인들과 교유하는 장소로서 구심력을 지닌다. 그런데 시인 은 서울에서도 다른 지방에서와 마찬가지로 나그네이므로 다른 지방에서 서울을 그리워하는 것처럼 서울에서는 고향을 그리워한다. 고향은 이달 시에 나타난 원심 력과 구심력의 길항 속에서 구심점으로 귀결되는 공간이다. 시 속에 형상화되어 있 는 고향의 구체적인 장소는 원주의 손곡이다. 그곳은 자신만의 집인 ‘손곡장’이 있 는, 그래서 마음속에 구심점으로 자리 잡은 시인의 고향이다. 각처를 떠돌면서 생활 할 때에도 구심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은 고향인 손곡이 있었기 때문이다. 손곡 이달의 한시에서 손곡은 시적 자아가 자기를 지키며 내부로 향하는, 원심력 으로 여러 장소로 흩어졌다가 오롯한 구심력으로 모여드는 장소의 핵심이다.

목차

[ 국문초록 ]
1. 서론
2. 원심력과 구심력이 공존하는 ‘서울’
3. 또 다른 구심점 ‘고향’
4. 고향의 구체적인 장소 ‘손곡’
5. 결론-‘손곡’의 장소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금숙 Kim, Gum-suk. 상지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한국어문학과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