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Perdro ha terminado el trabajo no sabemos cómo : is it just another instance of clausal ellipsis or existence of a non-canonical adjunct?
초록
영어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a non-compositional sentence like Perdro ha terminado el trabajo no sabemos cómo in which on the surface there seem to be two subjects and two predicates in a simple sentence. According to Borgonovo(2011), this kind of sentences does not involve any explicit marker showing that either two clauses are coordinated or one clause is subordinated into the other, so they seem to violate the well-known principle of compositionality in a simple sentence. For this reason, Borgonovo explores the hypothesis that the incomplete formno sabemos cómo which appears at the end of the sentence mentioned above is indeed a constituent and could be considered as an instance of a wh-adverbial phrase. In this paper, however, I argue that what we see in the aforementioned sentence is a sort of clausal ellipsis which involves a bi-clausal rather amono-clausal structure. Concretely, I propose that such kind of elliptical sentences comes as a result of a combination of two clausal ellipses, namely sluicing and why-stripping. This bi-clausal analysis plus PF-deletion is more simple and adequate as far as empirical data is concerned. In conclusion, the incomplete clause shown in the sentence mentioned above is derived from PF-deletion, just like other instances of clausal ellipsi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Pedro ha terminado el trabajo no sabemos cómo와 같은 스페인어 문 장이 통사적으로 어떻게 도출되는지에 대해 탐구하고자 한다. Borgonovo(2011)에 따르면, 이와 같은 문장에는 등위접속(coordination) 또는 종속(subordination) 등과 같은 복문의 존재를 추정 할 수 있는 어떠한 외현적인 표지도 겉으로 드러나 있지 않으며,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기본 적인 문장 구성 원리(compositionality)를 위배하여 마치 두 개의 주어와 두 개의 술어가 하나의 문장에 나타난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이에 따라 Borgonovo는 해당 문장을 단문으로 간주하고 문미에 출현한 no sabemos cómo를 일종의 부가어(adjunct)로 분석할 것을 제안한다. 하지만 본고는 위에 언급한 문장은 단일절(mono-clause)이 아닌 이중절(bi-clause)로 구성되어 있는 복문이며, 문미에 나타난 no sabemos cómo를 일종의 생략문으로 간주하고 절 생략(clausal ellipsis)의 대표적인 사례인 수문(sluicing)과 why-최소 공백화(why-stripping)의 결합으로 분 석하는 것이 훨씬 더 간결하며 경험적 자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도 적절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러한 분석에 따르면, 결과적으로 위에 언급한 문장에 출현한 no sabemos cómo는 후행절에 적용한 PF-삭제의 결과로 나타나게 되며 여타 절 생략 구문들과 유사하게 분석된다.
목차
I. 서론
II. Borgonovo(2011)
1. 이동 분석 vs. 비이동 분석
2. 부가어로 본 ... no sabemos cómo
III. 절 생략(clausal ellipsis)으로 본 ... no sabemos cómo
1. 수문과 why-최소 공백화
2. 수문과 why-최소 공백화의 조합으로 본 ... no sabemos cómo
3. 논항 의문사구가 포함된 경우
IV. 결론 및 남은 과제들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