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의 해양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외래종 따개비 분포현황

원문정보

Report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Distribution of Invasive Barnacles in Marine National Park areas of Korea

김현경, 이상규, 민범식, 김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oracican barnacles are marine crustacean that live as sessile form at the adult stage and widely distributed from intertidal to subtidal zones. Some barnacles are introduced to the country by attaching to the bottom of the ship, or through the ballast water, and they disturb the marine ecosystem. Four species of invasive barnacles have been reported as the possible ecosystem disturbance species in Korea.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stribution of three invasive species in Korean marine national park: Amphibalanus amphitrite (Darwin 1854), A. eburneus (Gould 1841) and A. improvisus (Darwin 1854). Amphibalanus amphitrite, one of the most successful marine invaders worldwide, was found not in the intertidal zone but found attached on the surfaces of macro-algae and molluscan shells. A. eburneus introduced to the eastern Pacific from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was found on buoys attached or the bottom of ships in areas with high temperature and salinity. A. improvisus introduced from the northwest Atlantic Ocean was found on a port structure attached in a relatively low salinity area. Invasive barnacles are not easy to distinguish each other by the external morphology because size variation among individuals ranges high and especially A. eburneus is similar in appearance to A. improvisus. Therefore the exact identification of the species was carried out by morphology of scutum and tergum and DNA barcoding. They are believed to be introduced by attaching to the buoy and the bottom of the ship or through the ballast water and have spread between ports in Korea.

한국어

따개비류는 성체 단계에서 고착생활을 하는 해양갑각류로서 조간대부터 조하대까지 널리 분포한다. 일부 따개비류는 선박 하부 및 선박평형수를 통해 유입되어 해양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있다. 국내에 보고된 생태계 교란 가능성이 있는 외래 따개비류는 4종으로 주걱따개비 Amphibalanus amphitrite (Darwin 1854), 닻따개비 A. eburneus (Gould 1841), 흰따개비 A. improvisus (Darwin 1854), 화산따개비 Perfortus perforatus (Bruguière 1789) 이다. 본 연구는 해양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외래종 분포현황조사를 통하여, 3종의 외래 따개비(주걱따개비, 닻따개비, 흰따개 비)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주걱따개비의 경우 외래 따개비류 중에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조 간대에서는 발견되지 않고 해조류 및 패각에 부착되어 발견되었다. 닻따개비의 경우 북대서양에서 동태평양으로 유 입된 종으로 수온과 염분이 높은 지역의 부표나 배 밑 부분에서 발견되었다. 흰따개비의 경우 북서대서양에서 유입 된 종으로 비교적 염분이 낮은 지역의 항구 구조물에 부착되어 있었다. 외래따개비류는 개체마다 크기 차이가 크고, 특히 닻따개비는 흰따개비와 겉모양이 유사하여 외부형태만으로 쉽게 구별할 수 없다. 따라서 3종에 대해 순판 및 배판의 형태와 DNA 바코딩으로 정확한 종 동정을 진행하였다. 한국의 해양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외래 따개비 3종 의 분포지역 확인을 통해 3종 모두 염분 변화에 강한 내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선박평형수, 부표, 배의 바닥 부분에 부착된 채 유입되어 국내 항구 간 확산이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1. 자료 수집
2. 형태 동정
3. DNA 바코딩
결과 및 고찰
1. 해양국립공원 내 외래 따개비류 분포현황
2. DNA 바코딩
사사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현경 Hyunkyong Kim.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상규 Sang-kyu Lee.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 민범식 Bum Sik Min.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해양연구센터
  • 김원 Won Kim.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