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a Human-Oriented Restoration Project of Cheonggyecheon - Focused on perspective of the low income merchant -
초록
한국어
청계천 복원사업은 서울의 대표적인 도시재생사업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2년이란 빠 른 시간안에 완성된 청계천 복원사업은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측면에서 많은 논란을 가져왔다. 여러 관점에서 성공적인 면도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청계천주변에서 생계를 꾸리며 살아온 저소득층 소상공인들의 입장을 중심으로 사람중심의 청계천 복원사업의 문제점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 개선방안에 대해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청 계천의 역사를 살펴보고 역사적으로 복원사업의 추진과 함께 야기된 문제점과 청계천 복원사업의 문제점을 기존 문헌들을 통해 고찰한다. 그 중 공식 청계천 홈페이지에 있 는 사람중심의 복원사업이란 단어에 주목하고 ‘사람중심’이란 개념에 대해 저소득층 소상공인 입장에서 재정립한다. 그리고, 자본주의적 관점에서 청계천 복원사업 시 경시 된 저소득층들의 보상과 이주문제, 저소득층간의 공평성 문제에 대해 분석한다. 저소득 층 소상공인의 입장을 고려함으로써 복원사업 시 그들의 입장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임차인과 임대인과의 상생협력방안, 복원사업 피해자에 대한 전 방위적인 개 별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방향으로 가야한다. 이러한 문제점 분석과 개선방안을 통해 사람중심의 복원사업을 구현하는데 본 연구가 기여하길 바란다.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 History of Cheonggyecheon
1. Before the Restoration Project
2. Restoration
3. Getting Rid of Highway
Ⅲ. What is a “human-oriented” city?
Ⅳ. Conclusion
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