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영화 <로마 Roma>(2018) 오프닝 크레딧 시퀀스의 텍스트분석

원문정보

Textual Aalysis of Opening Credit SQ in Film Roma

정재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essay on Alfonso Cuaron's film Roma is studied by textual analysis. I analysed the opening credit SQ, the very first part of the film and interpreted it into the meaning of the whole. The goodness of textual analysis is on the fact that it dissects the structure and theme and interprets it in many folds. Text is not just of a single meaning formation based on a compound, but of a many views by the audiences. Through that point of view it is received by poststructuralisic position. It is reviewed by fiv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meaning structure of Roma in this paper: Firstly, the film is a thought/language in terms of film language as an idea of existence. Secondly, the film is stillness/movement in terms of moving expression. Thirdly, the film is a reality/screen in terms of representaion of reality. Fourthly, the film is the time/space/energy in terms of three components in film. Fifthly, the film has the arguing point of analogue/digital in terms of passing through photographic realism to digital realism. The opening SQ has totally 29 photograms and also has three acts structure, the beginning, the middle, and the end. It is changed from stillness to movement, the narrative is going on the separate image and sound and the illusory screen is formed on the floor and do the continuity editing as film history. Lastly, the opening title is ended when the letter Roma, representing the film's main theme is arisen, insinuating the ironic theme which is narrated the colonial-aboriginal maid's story through the memories of an white man.

한국어

본 논문은 알폰소 쿠아론의 영화 <로마>에 대해 텍스트분석한 것이다. 영화의 맨 처음 부분인 오프닝 크레딧 시퀀스를 분석하여 영화 전체의 의 미를 해석하였다. 텍스트분석의 의의란 텍스트의 구성과 의미를 분석하여 텍스트가 다양한 방향으로 해석되는 것을 지향한다. 텍스트란 기본적으로 구성물로서 단일의 의미만을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관객의 입장에서 다양 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점에서 후기 구조주의적 입장에서 해석되어진다. 이 글에선 영화 <로마>의 의미구조를 다섯 가지 이론적 개 념으로 해석하였다. 1) 영화언어가 존재의 사유라는 점에서 사유/언어, 2) 영화는 운동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정지/운동, 3) 영화는 현실의 재현이라 는 점에서 현실/스크린, 4) 영화를 구성하는 3대 요소라는 점에서 시간/ 공간/사건, 5) 영화는 사진적 리얼리즘에서 디지털로 이행해 왔다는 점에 서 아날로그/디지털 등의 쟁점을 갖는다. 영화의 오프닝 시퀀스는 총 29 개의 사진으로 구성되며 처음-중간-마지막의 삼막구조를 갖는다. 정지에 서 이동으로 변화하며 이미지와 사운드가 분리된 가운데 서사가 진행되고 바닥표면에 환영(illusion)의 스크린이 형성되고 영화의 역사인 연속편집이 전개된다. 마지막에 영화의 핵심주제를 상징하는 문자 ‘로마’가 떠오르면 서 식민지원주민 하녀의 이야기가 백인의 기억속에서 전개되는 아이러니 한 주제를 암시하며 끝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1. 텍스트분석
2. 영화의 구조
Ⅱ. 본론
1. 사유/언어
2. 정지/운동
3. 현실/스크린
4. 시간/공간/사건
5. 아날로그/디지털
Ⅲ.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사진]

저자정보

  • 정재형 Jae-Hyung JUNG. 동국대학교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