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빌렘 플루서의 예술론

원문정보

Vilém Flusser’s Art Theory

박상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deals with Vilém Flusser's art theory, which attempts to reflect on the changed meaning and value of art in the post industrial society of the West, which entered the information age of the 1980s, and to redefine the concept of art. Through this, we are going to contribute to the trend of art research to explore how the meaning of art is changing again today, when we entered the era of advance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21st century beyond the information 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Flusser says that the key category that supports the post-industrial society is information that is defined as "improbable situation." He defines art as "any act of the human being that produces an improbable situation," arguing that art is a kind of message or information. The less probable artwork is, the more artistic it is. The task of art is to produce new things that have never existed before. Second, new artworks are not always new experiences. Just as every phenomenon of nature changes to entropy, which gradually becomes more and more evident as time passes according to the second law of thermodynamics, new artworks are gradually experienced as they become familiar with time. Third, in physics, entropy, in information science, probability is a fundamental category. In art, habit is the fundamental category. Because art is the opposite of habit and art always returns to habit, art and habit are inseparable. If 'aesthetic' means experience, habit means anaesthetics. Habit is a measurer for aesthetic evaluation. Finally, Flusser criticizes the works of the most creative artists in his art theory. Müller-Pohle creates the most unlikely picture in a photography program through a coincidental shooting scheme, and Burson creates a world of chimeras that never existed until now through computerized synthetic photography techniques.

한국어

이 연구는 1980년대 정보화 시대로 진입한 서구의 후기산업사회에서 예술의 변화된 의미와 가치를 성찰하고, 예술의 개념을 새롭게 정의하고 자 했던 빌렘 플루서의 예술론을 다룬다. 이를 통해 정보화 시대를 넘어 21세기 첨단 인공지능 시대에 진입한 오늘날, 예술의 의미는 다시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모색하려는 예술 연구동향에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결 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루서는 후기산업사회를 떠받치는 핵심 범주는 ‘비개연적인 상황’이라고 규정되는 정보라고 말한다. 그는 예술은 메시지 또는 정보의 일종라고 주장하면서, 예술을 ‘비개연적인 상황을 생산하는 인간의 모든 행위’라고 정의한다. 예술작품은 비개연적일수록 예술적 가치 는 더 높다. 예술의 임무는 지금까지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것을 생산 하는 데 있다. 둘째, 새로운 예술작품은 언제나 새롭게 경험되지는 않는 다. 자연의 모든 현상이 열역학 제 2법칙에 따라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개연적 상태인 엔트로피로 변화는 것처럼, 새로운 예술작품도 시간이 지 날수록 점차 익숙하게 경험된다. 셋째, 물리학에서 엔트로피, 정보과학에 서는 개연성이 근본 범주라면, 예술에서는 습관이 근본 범주이다. 예술은 습관의 반대이고 예술은 언제나 습관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예술과 습관 은 불가분의 관계이다. ‘미적’이 경험을 의미한다면 습관은 마비를 의미한 다. 습관은 미적 평가를 위한 측정자이다. 마지막으로 플루서는 자신의 예술론에 부합하는 가장 창의적인 예술가들의 작품을 비평한다. 뮐러-폴 은 우연에 의거한 촬영방식을 통해 사진 프로그램에서 가장 비개연적인 사진을 제작하고, 버슨은 컴퓨터 합성사진 기술을 통해 지금까지 존재하 지 않았던 키메라의 세계를 창출한다.

목차

[국문초록]
1. 서론
2. 본론
(1) 정보로서의 예술
(2) 습관과 미적 기준
(3) 플루서와 현대예술가
3.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도판]

저자정보

  • 박상우 Sangwoo PARK. 서울대학교 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