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호텔기업 e-Learning 품질이 지각된 용이성·유용성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영향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

원문정보

The Effect of Hotel Corporate e-Learning in Quality on Perceived Ease of Use · Usefulness and Training Transfer : Focus on Busan Area

홍정화, 문정남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tended to identify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Learning on perceived ease of use usefulness and training transfer in hotel corporate. In order to achieve the results, 220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from 5th Mar, 2019 to 18th Mar, 2019. Due to the reliability of data, 4 samples were discarded and 216 samples were put to actual analysis. Further results were produced by the researcher through conducting and analyzing via SPSS Ver. 21.0 statistics package.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e-Learning which consists of system quality and contents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ease of use. Secondly, the quality of e-Learni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Perceived Usefulness. Thirdly, the quality of e-Learning which consists of contents qualit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transfer. Finally, Perceived ease of use·usefulnes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raining transfer. This study shows that as an alternative to the existing training, e-Learning offers new learning experiences to employees and finds it necessary to encourage their employees to apply this information and experience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ir performance in hotel corporate.

한국어

이 연구의 목적은 호텔 기업 e-Learning 품질이 지각된 용이성·유용성 및 학습전 이에 대한 영향 연구를 통해 기존 교육의 대안으로 자리 잡고 있는 e-Learning이 바 람직한 모습으로 기업에 정립될 수 있도록 호텔 기업들의 정보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실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조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부산지역 호텔기업에서 종사하고 있는 임 직원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 기간은 2019년 3월 5일부터 3월 18일까지 총 22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이 중 응답에 일관성이 없거나 불성실한 것으로 판단 되는 4부의 설문지를 제외한 216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활용되었다. 설문결과를 토대 로 SPSS Win 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 석을 시행하였다. 또한, 연구 가설들을 검증하기 위하여 SPSS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회귀분석을 시행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호텔기업의 e-Learning 품질 요인 중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이 지각된 용이성에 시스템품질, 콘텐츠품질, 서비스품 질이 지각된 유용성에 정(+)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호텔기 업의 e-Learning 품질 요인 중 콘텐츠품질은 학습전이에 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호텔종사원의 지각된 용이성·유용성은 학습전이에 정 (+)의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e-Learning 품질
2. 지각된 용이성·유용성
3. 학습전이
Ⅲ. 연구 방법
1. 연구모형
2. 가설의 설정
3. 변수의 측정과 분석 방법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2. 측정척도의 신뢰성 및 타당성 검증
3.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의 검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홍정화 Hong, Jung-Hwa. 동서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 문정남 Moon, Jung-Nam. 동서대학교 관광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