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terraces in comparison with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원문정보

자연습지 및 인공습지와의 비교를 통해 본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생 특성

Mun Gi Hong, Hyekyung Park, Bo Eun Nam, Jae Geun Kim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understand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of abandoned paddy terraces (APTs), species composition and plant species richness of AP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other natural- and constructed wetlands (NWs and CWs, respectively). Based on frequency of major vegetational components, Phragmites japonicus was more common in APTs (23.9%) than NWs (10.8%) and CWs (10.8%), whereas P. australis was less frequent in APTs (18.3%) than NWs (43.1%) and CWs (35.4%). Typha orientalis was common only in APTs (19.7%), whereas T. angustifolia was relatively common in NWs (21.5%) and CWs (32.3%). In addition, some wetland obligate species such as Leersia japonica, Oenanthe javanica, and Sium suave were frequently found only in APTs. In particular, APTs showed higher plant species richness (6.3 ± 2.2 species/m2) than NWs (4.9 ± 1.8 species/m2) and CWs (3.9 ± 1.3 species/m2). APTs exhibited not only their distinctive vegetational characteristics but also higher ecological value in terms of plant species richness. Further attention on APTs as valuable biotopes supporting diverse plant species and continuous effort for management and conservation are needed more.

한국어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생 특성을 이해하기 위하여, 계단식 묵논습지의 식물종 구성 및 종풍부도 양상을 대상으로 자연습지 및 인공습지와의 비교연구를 수행하였다. 달뿌리풀은 자연습지(10.8%)나 인공습지(10.8%)에 비해 계단식 묵논습지(23.9%)에서 상대적으로 자주 관찰된 반면, 갈대는 계단식 묵논습지(18.3%) 보다는 자연습지(43.1%)나 인공습지(35.4%)에서 보다 높은 비율로 출현하였다. 부들의 경우 계단식 묵논습지(19.7%)에서만 높은 비율로 출현한 반면, 애기부들의 경우 자연습지 (21.5%)와 인공습지(32.3%)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그와 더불어, 나도겨풀, 미나리, 그리고 개발나물과 같은 몇몇 습지 의존성 식물들의 경우 오직 계단식 묵논습지에서만 관찰되었다. 특히, 계단식 묵논습지(6.3 ± 2.2 종/m2)는 자연 습지(4.9 ± 1.8 종/m2) 및 인공습지(3.9 ± 1.3 종/m2)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식물 종풍부도를 나타내었다. 즉, 계 단식 묵논습지는 특유의 식생 특성을 나타내었을 뿐만 아니라 종풍부도 차원에서 보다 높은 수준의 생태적 가치를 보인 것이 다. 비오톱으로서 계단식 묵논습지가 갖는 높은 생태적 가치에 대한 계속적인 관심과 더불어, 이를 유지관리하고 보전하기 위한 차원에서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요약
1. Introduction
2. Materials and Methods
2.1 Study sites
2.2 Field survey
3. Results and Discussion
3.1 Plant species richness depending on wetland types
3.2 Major vegetational components depending on wetland types
4. Concluding remarks and implications
Acknowledgements
References

저자정보

  • Mun Gi Hong 홍문기.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Hyekyung Park 박혜경.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Bo Eun Nam 남보은.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Jae Geun Kim 김재근.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Seoul National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