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주당 청화의 염불선 사상에 내재된 천태교관

원문정보

Chan Master Mujudang Chunghwa's Understanding of the Tientai Doctrine and Vipaśyanā

최동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han Master Mujudang Chunghwa is from Muan, Jeollanam-do and he was a genius who graduated from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e was appointed as a disciple by Geumta master in Korean war(1950-1953). Until his appointment to the representative of Taean Temple in Mount Dongli in 1985, he had practiced YumbulSeon practice from temple to temple, and established its theoretical system in search of historical, ideological and practical grounds for the Yumbulseon. The basis of Yumbulseon, from the teachings of the Chinese Dharma to the Hymen, is Yeoraeseon. Chunghwa called it orthodoxy seon or purity seon. The orthodox orientation of this method is Wontongbulbeop, and its practical goal is to establish a clean mind and clean land. The teachings of Chungwha were influenced by the ideas of Tientai Zhi-i, at this time a Purity seon were occurred. The goal was to realize the spirit of the Pundarika Sutra. The method of Zen and the Zhiguan as the practice system is proposed. The theoretical framework is Fahuaxuanyi(法華玄義) and Mahezhiguan(摩訶止觀) as its practical system. Master Chunghwa knew not only Yumbulseon but also Idea of Tientai. He used Tientai thought to set up ideas and systems inherent in the theory left by his teacher Geumta. In relation to these, four things are listed as follows: The first, acceptance of a Tientai order’s doctrine. The purpose of Tientai order is to realization the spirit of the representative scripture, Lotus Sutra. To this end, Master Tientai gave a lecture on Three main scripture which is orthodox of this ord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spirit of Huayan Sutra pursued by Seon order. This is different from the spirit of Huayan Sutra pursued by Seon order. The second, accepted the Yihangsanmei(一行三昧) taught by Master Tientai. The contents of Changzuosanmei(常坐三昧) and Changhangsanmei(常行三昧), lectured in Mahezhiguan(摩訶止觀), were settled by Yumbulseon method. The third, Master Chunghwa accepted the theory of nature Buddhahood. This is the teaching about Liuji(六卽), Shijiehuju(十界互具) and three dharma(mind, buddha, living things) indiscriminate in Tientai school. Fourth, it is the Pureland idea of national territory which cleaning by mind cleaning. In particular, Chunghwa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idea of Guanmoliangshou Sutra(觀無量壽經) as interpreted by Zhili(知禮) who belonging to Tientai order.

한국어

무주당 청화선사(1923-2003)는 전남 무안 출신이다. 그는 한국전쟁 중에 출가하였다. 1985년 동리산 태안사 주지로 부임하기까지 그는 여러 토굴을 이동하면서 줄곧 염불선을 수행하였으며 이 선법에 대한 역사적, 사상적, 실천적 근거를 찾아 그 이론적 체계를 세웠다. 그 근거는 중국 보리달마의 가르침으로부터 혜능에 이르는 순선(純禪)이며 이를 청화는 정통선이라 하였다. 이 선법의 교판적 지향점은 원통불법이며, 그 실천적 목표는 마음청정을 통한 정토구현이다. 중국 당 초기 이전에 선정수행이 보급되던 시기는 천태종의 종조인 지의(538-597)가 활동했던 시기와 일치한다. 지의는 『법화경』 정신의 구현이 목표이며 이를 위한 실천체계인 선정과 지관에 대한 방법론을 제시했다. 이론 체계로서 『법화현의』 이며 그 실천체계로서 『마하지관』 이다. 특히 지의의 『관무량수경소』 를 송 초기의 지례는 이를 해석하여 『관무량수경소묘종초』 를 썼는데, 이 책은 천태종의 종파적 입장을 강조하였다. 청화는 이 책 내용의 염불 및 관심(觀心)에 대한 관심이 깊었다. 청화는 염불선 뿐만 아니라 천태교관에도 밝았다. 청화는 금타 스승이 남긴 『금강심론』 에 내재한 사상과 실천법의 체계를 세우기 위해 천태사상을 활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몇 가지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교판(敎判)의 수용이다. 천태종의 종지는 소의경전인 󰡔법화경󰡕 정신의 구현이며, 이를 위해 천태대사는 삼대부를 통해 관심의 실천을 강설하였다. 이는 선종이 추구하는 󰡔화엄경󰡕 정신과 차별이 있다는 점에서 청화는 천태 원돈(圓頓)의 영향을 받아 원통(圓通)불법의 원융과 회통정신을 천명하였다. 둘째는 일행삼매의 수용이다. 『마하지관』 에서 강설한 상좌삼매와 상행삼매의 내용은 청화의 행법인 염불선으로 정착하였다. 셋째는 본시성불론이다. 이는 천태학의 육즉론과 십계호구론 그리고 삼법(심법·불법·중생법) 무차별 등이 청화의 법문집에 등장한다. 넷째는 심청정에 의한 국토청정의 유심정토사상이다. 청화는 특히 지례의 『관무량수경소묘종초』 의 시심작불·시심시불 해석의 영향을 받았다.

목차

한글요약
Ⅰ. 머리말
Ⅱ. 천태종 교판과 원통불법의 비교
Ⅲ. 본시성불론과 천태 육즉론의 의미
Ⅳ. 청화 염불선과 지례의 염불사상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동순 Choi, Dong-soon.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