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심사논문

대행의 증명관(證明觀) 고찰

원문정보

A Study of Jeungmyeonggwan(證明觀) of Master Daehaeng

청강스님(김창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ey practice that Master Daehaeng presents is Gwanbeop(觀法 Dhammānupassanā, A Methods of Obtaining an Insight on the Self-Truth) that cultivates and realizes the nature of the self which completes perfect enlightenment through three stages: discovering the seed of the Buddha-nature from him/herself, absorption of the principle of non-duality as own, and the manifestation(as the nirvāna). Among them, as the practice to see the Buddha-nature from him/herslef, she presented a kind of Gwan(called as Jeungmyeong gwan(證明觀) below) which proves Juingong itself as the true Self-nature. Jeungmyeonggwan brings about the discovery of true self by believing that our nature is already awakened-Buddha and letting go of everything to the Hanmaum Juingong, the Buddha-nature, and observing how the situation flows and develops with focusing on inner side. Also, when a strong question arises from his/her inside, Jeungmyeonggwan method tells us that we can prove the presence of our Self-nature, Juingong, by letting Juingong answer the question by itself because the question and answer comes the same source, Juingong. In order to practice Jeungmyeonggwan, we generally need truthful faith, letting-go, and observing. With undergoing these processes, this practice tranquilizes minds, and sometimes gives birth to the deep feelings of curiosity on Juingong itself. At the stage, when we feel those, if we practice sincerely by contemplating on the statement like "Juingong, only you can prove your presence!", then we can recognize and experience the truth within us naturally. The awakening as the outcome of doing Jeungmyeonggwan should be checked and approved through the practicer′s sincere inner-self-assuring (自內證) and also needs to be admitted by a Buddhist priest of high virtue who is a Seon master. The practicer must be careful about keeping the basic routine of letting go of all the experiences regardless of what those are. While exercising Jeungmyeonggwan,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to do in this practice that letting go of everything without being caught by the experiences such as feelings or the sensing of the root of his/her sentient beings(感應) even including the enlightenment itself.

한국어

대행 스님이 제시하는 주요 수행법은 관법수행이며 이는 견성, 둘 아닌 도리 그리고 나툼(열반)의 세 단계를 거쳐 완전한 깨달음을 이루는 수증관을 제시하였다. 이 가운데 견성을 하기위한 수행법으로 주인공을 증명하는 관(이하 증명관)을 제시하였다. 증명관은 본래성불을 바탕으로 한마음주인공을 믿고 일체를 놓고 지켜봄을 하는 한편, 주인공에 대한 의정이 일어날 때 참구하여 자성을 발견하는 것이다. 증명관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주인공에 대한 믿음과 놓음 그리고 지켜봄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마음이 평온함을 느끼는 한편 주인공을 정말 알고 싶어하는 의정이 생긴다. 이때 “주인공 너만이 너가 있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어!” 하고 시간 나는 대로 간절히 관하면 체험을 할 수 있다. 증명관을 통한 깨달음은 자내증을 통한 인가가 필요하며 이러한 깨달음을 선지식으로부터 ‘인정’받는 것이 필요하다. 증명관을 통해 감응이나 깨달음을 경험했을 때 점수수행의 일환으로 주인공에 놓으면서 둘 아닌 도리를 실천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증명관의 수행법에 대한 바른 이해는 주인공을 바로 투득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며 이러한 증명관을 통한 감응 이상의 체험은 행복한 세상을 구현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고 본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대행의 증명관
1. 대행의 관법과 증명관
2. 증명관의 실천
3. 증명관 후 점수수행
Ⅲ. 나가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청강스님(김창언) Kim, Chang-Eon(Ven. Cheong-Gang).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