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carbon dioxide emissions using panel data of 16 cities and provinces in Korea from 2000 to 2016. In particular, after testing the existence of spatial dependence in the model, we estimate the direct, indirect, and total effects of the explanatory variables on carbon dioxide emissions with the spatial lag model. As a result, we confirm that there is an inverted U-shaped Kuznets hypothesis between CO2 emissions and economic growth. The estimated coefficients of total effect of population density, trade openness and manufacturing weight variables on carbon dioxide emission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positive sign. This implies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dispersion and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in relation to the reduction of carbon dioxide emissions. This also suggests that an economic growth policy combined with export and import production activities utilizing eco-friendly resources and restructuring into low-carbon industrial structures are necessary. The estimated coefficient of total effect of urbanization variables has negative sign which indicates that urbanization above a certain level can reduce carbon dioxide emissions.
한국어
본 연구는 2000년부터 2016년까지 16개 시도의 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모형에서 공간의존성 존재 여부를 확인한 후, 공간패널모형 중 공간시차모형을 통해 설명변수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를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1인당 GRDP 추정계수 부호를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과 경제성장 간에 역U자 형의 환경 쿠즈네츠 가설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구밀도와 무역개방도, 제조업 비중 변수의 총효과 추정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양(+)의 부호로 나타났다. 이것은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과 관련하여 인구분산 및 지역균형발전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친환경적 자원을 활용한 수출입 생산활동 및 저탄소 산업구조로의 개편이 병행된 경제성장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도시화 변수의 총효과 추정계수는 음(-)의 부호로 나타났는데, 이는 일정 수준 이상의 도시화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I. 서론
II. 선행연구
III. 연구방법 및 분석 결과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