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인성론 ‘되묻기’의 의미 검토

원문정보

The Meaning of Asking again about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s.

김치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re is an opinion that attempts to explain the 'self cultivation and rectifying others(修己治人)' of Confucianism in the aspect of ethics and to view it as theology. However, Chinese philosophical ideas was the discussion on the original nature of human beings, Confucianism should be considered as humanics in the strict sense. The fact that all the intellectuals in the Warring States Period wondered if human beings can suppress personal desire to enact and follow the universal order of society also supports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first summarized the meaning of asking again about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s and the points at issue focusing on the questions of Gong Du Zi(公都子) and answers of Mencius.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arts of theory of Gaozi in the 'Mencius' to infer the meaning of theory of Gaozi that human nature is neither bad nor good and the theory of Mencius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Moreover, this study reanalyzed the ancient happening of the severance of heaven's connection with the earth appearing(絶地天通) in 'Yeohyoung(呂刑)' of 'Seokyoung(書經)' on the basis of that to review the meaning of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good and the theory that human nature is fundamentally evil again. Today our society is facing a big challenge of the loss of humanity. As a result, the importance of humanity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more than ever, but, in fact, nothing from the education at dinner table to counseling and enactment of laws is meeting expectations. The reason why is there is no deliberation on the meaning of asking again about humanity. At this point of time, it is judged that it is needed to review the meaning of the theory of human nature in that the question 'what is the true nature of human beings?' is in fact asking what human beings should be.

한국어

최근 유학의 修己治人을 道學的측면에서 해명하여 神學으로 보고자 하는 견해가 있다. 하지만 洙泗學은 물론 중국철학사상의 주요 주제가 인간의 본 성에 관한 논의였다고 할 때, 유학은 엄밀한 의미에서 인간학이라고 볼 수밖 에 없다. 춘추전국시대의 지식인들이 누구랄 것도 없이 인간이 개인의 욕망 을 억누르고 사회의 보편질서를 제정하고 따를 수 있는지를 궁금하게 여겼다 는 사실도 이런 관점을 뒷받침한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공도자의 질문과 맹자의 답변을 중심으로 인간의 본 질에 대한 되물음의 의미와 논점을 정리해보았다. 그리고 .맹자. 가운데 고 자의 학설 부분을 분석하여, 초기 인성론에서 맹자 성선설로의 전개양상을 통해 되물음의 의미를 구체화해보았다. 그리고 그것을 바탕으로 .서경. 여 형 에 등장하는 絶地天通의 고사를 바탕으로 사실상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 는 성선설과 성악설의 의미를 재검토해보았다. 오늘날 우리 사회에서는 人性상실이 큰 문제가 되고 있다. 그 결과 인성 교육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도 강조되고 있지만, 밥상머리교육에서부터 상담, 법제정에 이르기까지 그 어느 것 하나도 기대에 못 미치는 것도 사실 이다. 왜냐하면 인성에 대한 되물음의 의미에 대한 숙고가 결여되어 있기 때 문이다. 이런 시점에서 인간의 본질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이 사실상 인간은 무엇이어야 하는가를 되묻는 것이라는 점에서 인성론의 의미를 검토해볼 필 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는 말
2. 公都子의 孟子 人性論 되묻기
3. 보편적 존재 양식으로서의 性
4. 인간의 자기 인식으로서의 性
5.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치완 Kim, Chi-Wan. 제주대학교 철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