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음양대대적(陰陽對待的) 관점에서 본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원문정보

Hexagram of Qian(乾) and Hexagram of Kun(坤) from the Viewpoint of Yin-Yang Tui Tai(陰陽待對) Principles

김치완, 임원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Book of Changes(周易)' has played a key role in understanding the conventional ideas of East Asia together with 'Poems(詩)' and 'Writings(書)'. However, the concepts of yin(陰) and yang(陽) of 'the Book of Changes' reinterpreted from the point of view of today seem to be based upon the premise of viewpoint of binarity of the West. Therefore, despite the approach in the same method with the traditional method of interpretation, which is the viewpoint of yin-yang Tui Tai(陰陽對待; the relation that one keep a another) principles, in many cases the rhetoric such as harmony, complementarity, review of value of yin and so on are brought into play. Hence, this study examined how the relationship of yin-yang principles is set in the languages of hexagram and lines of Hexagram of Qian and Hexagram of Kun, which are considered to represent yin and yang at the beginning of 'the Book of Changes'. It was found that the laws of creation of existences that become yin and then become yang the next time are systematized in a stratified way in the overall languages of hexagram and languages of lines of Hexagram of Qian and Hexagram of Kun of 'the Book of Chang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yin and yang here do not mean a specific aspect of the entire picture of the world but are the concepts to explain the picture of the world focusing on change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o reconstitute 'the Book of Changes' from the point of view of either yin or yang is extrinsic to its original purpose.

한국어

『주역(周易)』 은 『시(詩)』ㆍ『서(書)』 와 함께 동아시아 전통 사상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그런데 오늘날의 관점에서 재해석 된 주역의 음양관념은 서구의 이항대립적(異項對立的) 관점을 전제로 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다보니 음양대대적(陰陽對待的) 관점이라는 전 통적 해석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접근함에도 불구하고, ‘조화(調和)’라 든가 ‘상보성(相補性)’, ‘음(陰)의 가치 재음미’ 등과 같은 수사(修辭)를 동원하는 경우가 많다. 그래서 이 연구에서는 『주역』 첫머리에서 음양 (陰陽)을 대표하는 것으로 취급되는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괘효사 (卦爻辭)에서 음양대대적 관계가 어떻게 설정되고 있는지를 검토해보았 다. 『주역』 건괘(乾卦)와 곤괘(坤卦)의 괘사(卦辭)와 효사(爻辭) 전반 에서는 일음일양(一陰一陽)하는 존재의 생성법칙이 중층적으로 체계화 되어 있다는 점을 찾아 볼 수 있었다. 그리고 여기서 말하는 음양(陰 陽)은 전체 세계상(世界像) 가운데 어떤 특정 국면을 가리키는 것이 아 니라, 변화에 초점을 맞추어 세계상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틀이라는 점 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음양(陰陽) 어느 관점에서 『주역(周易)』 을 재구성하는 것은 그 본의에서 벗어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건괘(乾卦)의 음양대대적(陰陽對待的) 관념
3. 곤괘(坤卦)의 음양대대적(陰陽對待的) 관념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치완 Kim, Chi-Wan.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철학과 교수
  • 임원철 Im, Won-Cheol. 제주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4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