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北魏 太武帝의 폐불정책으로 본 북위불교의 특징

원문정보

A study on the keynote of Pei-Wei buddhism by Tai-Wo-Ti's anti-buddhism of Pei-Wei dynasty

북위 태무제의 폐불정책으로 본 북위불교의 특징

정창원, 남희경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ai-Wo-Ti of Pei-Wei Dynasty was the military monarch who achieved the unification of North China as one of the clever monarches. He succeeded to the policy against Buddhism from the former reign and conducted it, and also appointed K'ou Ch'ien-Chih, a taoist who practiced asceticism in chóng shān as well as Ts'ui Hao, a confucian minister of qīng hé for the monarchy government to achieve the goal of the unification. The both were indispensable to perform the policies but their intentions were not only from the loyalty to contribute for the unification policy accomplishment, they also wanted to achieve their initial intentions after entering into the politics in favor of the throne. That was to say, Ts'ui Hao aimed for the reconstruction of confucian nation by Chinese that he thought as ideal, and the goal of K'ou Ch'ien-Chih was to establish Taoism as the national religion by the collusion with the authority of the emperor. However, to see their attitudes against Buddhism, since Ts'ui Hao's political ideology was strictly rooted in the Taoism, he actively cleaved the anti-buddhism, and in this reason, Tai-Wo-Ti's entourage always insisted on the anti-buddhism. The taoist, K'ou Ch'ien-Chih endeavored to establish the Taoism, but also he accepted Buddha as one of 32 T'ien and objected to the extreme anti-buddhist persecution to avoid the collision with Buddhism whose power was already spreaded in the region. Thus, it is widely accept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anti-buddhism and the repression on the buddhism by Tai-Wo-Ti was due to the collision between Taosim and Buddhism under Ts'ui Hao's attitude which was anti-buddhism and K'ou Ch'ien-Chih's influences. However,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repression on the buddhism and the policies of anti-buddhism by Tai-Wo-Ti were always conducted related to the foreign invasion or the disturbance of gài wú, also that Tai-Wo-Ti's politics did not follow the Ts'ui Hao's ideology and was strictly conducted by his own wills, it could be explained as that Ts'ui Hao's attitude towards buddhism and the anti-buddhism by Tai-Wo-Ti had different aims. Also, since K'ou Ch'ien-Chih kept his attitude to object to the extreme anti-buddhism and accept or win the Buddhism under Taoism, the anti-buddhism conducted in year 446 never should be concluded only as the collision of Buddhism and Taoism. Therefore, the goal for the anti-buddhism by Tai-Wo-Ti can be explained with the reason that simply buddhism was against his policy performance, so he chose to conduct the anti-buddhism. With this stand point, the social phenomenon that the north china buddhism could not support the nation under the authority of emperor and, coordinately polit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of north china through buddhism as well as the controlling characteristic are observed. Finally, even though ani-buddhism policy by Tai-Wo-Ti was deeply affected by Ts'ui Hao or K'ou Ch'ien-Chih, accepting this theory that is already widely spread, also the main reason for anti-buddhism should be considered as his own policies for the aim of unification.

한국어

北魏의 太武帝는 華北統一을 달성한 武君이자 영민한 군주의 한 사람으로 평가 된다. 그는 前代의 對佛정책을 계승함과 동시에 통일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 편으로 淸河의 漢人名族崔浩를 비롯하여 嵩山에서 수도한 道士寇謙之를 조정에 등용하였다. 이들은 태무제의 정책수행에 반드시 필요하였던 인물이기는 하였지만, 최호는 항상 이상으로 생각하는 漢人에 의한 유교국가의 재건하려는데 목적이 있 었고, 구겸지는 제권과의 결탁을 통해 도교를 국교의 지위로 확립코자 하였다. 때 문에 이들의 조정 진출은 오직 태무제의 통일정책수행에 공헌한다는 충성심만은 아니었고, 왕권에 힘입어 정계에 진출한 후, 각자가 의도했던 목적을 달성코자 함 에 있었다고도 말할 수 있다. 이들의 불교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면 최호의 정치적 이상은 어디까지나 유교주 의에 입각하고 있었고 적극적인 배불론의 입장을 고수하였기 때문에 항상 태무제 의 측근에서 척불론을 주장하였다. 반면 도사 구겸지는 도교의 확립에 노력하면서 도 될 수 있는 한 당시 이미 교세가 확대되어 있는 불교와의 충돌을 피하기 위하 여 불타를 32天가운데 하나로 인정하였으며, 극단적인 廢佛에 대해서는 반대하였 다. 그러면서도 태무제를 도교군주로 만드는데 갖은 노력을 다하였다. 태무제의 불교 억압이나 폐불의 단행은 최호의 배불론적인 태도와 구겸지의 영 향에 의한 道.佛의 충돌에 의한 것이라 함은 이미 통설인 듯하다. 그러나 태무제의 불교 억압이나 폐불의 조칙이 항상 그의 대외정벌이나 蓋吳의 亂과 관련해서 단행되었다는 점, 또한 태무제의 정치가 최호의 이상에 따라 실시되어 갔던 것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태무제 자신의 의지에 따라서 실시되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최호의 대불태도와 태무제의 폐불에 대한 목적은 각기 달랐다고 말할 수 있다. 한 편 구겸지는 태무제의 극단적인 폐불을 반대하고 불교를 도교의 아래에 포섭, 내 지는 인정하려는 입장을 가지고 있었으므로, 446년에 단행된 폐불은 단지 道 佛의의 충돌로 귀결시킬 수만은 없다. 상술한 이유로 태무제가 폐불을 단행한 목적은 불교가 그의 정책수행에 위배되 어 邪僞의 종교라는 결단에 따라서 실현된 것으로도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태무 제의 정치적 목적에 불교가 위배되었기 때문에 단행된 것으로도 볼 수 있는 것이 다. 북위의 시대적 요청에 따라 불교가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던 것은 자명한 사실이 다. 이를 계기로 불교는 북위사회 속에서 깊이 융화되기 위하여 부단히 노력하였 다. 이 과정에서 폐불이란 어려움을 겪게 되었으며 또한 생존을 위해 북위 풍토에 더 적합한 불교로 탈바꿈되어야만 했다. 이는 과거 역경에 의한 인도불교의 교의 의 이해에만 초점이 맞추어 졌던 불교가 이 시대에는 커다란 시련을 겪은 불교인 들의 각성에 의해 조금 더 중국화 된 불교로써 다시 말해 실천불교로서의 면모를 갖추게 된다. 태무제의 폐불은 무엇보다도 태무제의 국가 정책상의 불교 통제의 의도로 시행 된 것이며, 그 결과 혼돈의 시대임에도 불구하고 불교의 興盛을 이룩해 낼 수 있 었다. 또한 북위 불교가 국가 불교의 성격을 지닐 수 있었던 것은 강격한 전제군 주에 의해 통치되는 국가의 테두리 안에서 불교가 존속하하였던 남조불교와는 다 른 독자적인 생존방식이었다.

목차

요약
1. 들어가며
2. 기존연구의 검토
3. 북위의 화북통일과 태무제의 불교정책
4. 廢佛政策으로 본 북위불교의 특징
5. 나오며
참고문헌

저자정보

  • 정창원 Jung, Chang-Won.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 남희경 Nam, Hee-Kyung. 쉼 박물관 학예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