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新增東國輿地勝覽』「제주목」 기사의 해양생물과 『玆山魚譜』

원문정보

Marine life of Jeju-mok in『Sinjeung Donggugyeojiseungram(a geography book)』and 『Jasaneobo(the first book of Korean marine life)』

『신증동국여지승람』「제주목」 기사의 해양생물과 『자산어보』

김동전, 백종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injeung Donggugyeojiseungram(revised version of the Donggugyeojiseungram(a geography book))』was published in 1481(12th year of the King Seongjong) and revised twice in 1530(25th year of the King Jungjong). It includes information about fish, shellfish and seaweeds by provinces: about 51 kinds of fish, 16 shellfish, 13 seaweeds and 20 others. The revised book didn't add new products in Jeju part. It shows that the original version was only about Jeju's marine specialties and tributes to the king. Donggugyeojiseungram of the government compilation was published to know tributes by regions. Fish was included in the book because it was a tribute to the king. The preface of the book says that specialty replaces the revenue tax. Also, it proves that fishery industry supplemented farming for livelihood. Jasaneobo(the first book of Korean marine life) written by Jeong yak jeon in 1814(14th year of King Sunjo) was based on positivism and pragmatism. It is regarded as the oldest encyclopedia on fish recorded by through observation, local residents' interview and documentational research. 『Jasaneobo』is comprised of 3 parts. The first part shows 72 species of 20 kinds of scaled fish. The second part shows 43 species of 19 kinds of non-scaled fish and 66 species of 12 kinds of crustaceans like shrimps and crabs. The third part shows 45 species of 4 other kinds like water birds and seaweeds. From 16th century, Neo-Confucianism, state reli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became ideal and notional study like Insim dosimron study, Sadanchil jeongron study and Inmulseong dongiron study. It didn't look after the public. Under this circumstance, 『Jasaneobo』succeeded Shilhak(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Until 15th century, seas had been undervalued. But from 19th century, seas were regarded as important for public welfare by Shilhak scholars.

한국어

1481년(성종 12)에 편찬된 후 2차례의 수정을 거치고 다시 1530년(중종 25)에 增補된 『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당시에 생산되고 있던 魚類와 貝類, 海藻類 가 각 도별로 파악되어 있다. 내용상으로 어류는 약 51종, 패류는 약 16종, 해조 류는 약 13종, 그리고 기타 수산물이 20여 종의 수록에 그치고 있다. 그런데 『신증동국여지승람』 濟州牧土産條에 한정하여 살펴보면 新增항목이 보이지 않는다. 이는 『동국여지승람』 편찬 당시 토산의 기록은 바로 대표적인 제주목 수산물과 제 주에서 조정에 진상했던 공물에 대한 기록임을 유추케 한다. 결국 조선 초기 관찬 지리지인 『동국여지승람』에 수록된 어류에 대한 기록은 통치적인 측면에서 어류를 지방 土貢의 품목으로 파악하고자 했을 것이다. 이러한 편찬의도는 ‘土産은 貢賦가 나오는 바이다’라는 서문의 기록에서 엿볼 수 있다. 또한 이는 조선전기 어업이 대 개 농업을 보충하는 차원에서 영위되었다는 사실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1814년(순조 14) 정약전에 의해 저술된 『玆山魚譜』는 實事求是를 연구방법으 로 바다생물을 연구의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 서적은 利用厚生을 목적으로 하여 철저한 관찰과 현지인과 옛 서적 등의 고증을 통해 저술된 조선시대 最古의 어류 백과사전으로 평가되고 있다. 자료의 구성은 3권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1에는 비늘이 있는 鱗類를 20조목으로 나누어 72종을, 권2에는 비늘이 없는 無鱗類19 조목 43종과 게나 새우 같이 껍데기가 단단한 介類12조목 66종을, 권3에는 기타 바다물새나 해초 등의 雜類4조목 45종을 조사 정리하였다. 조선의 건국으로 국교화된 조선의 성리학은 16세기 이후 人心道心論과 四端七 情論, 人物性同異論등 지극히 관념적인 학문으로 빠져버리고 ‘돌봐야 할 대상’인 백성들의 실질적인 삶의 향상을 위한 사대부로서 본분을 도외시 하였다. 이런 의 미에서 『자산어보』는 당시 유행하던 사회적 풍조로서의 실학의 학풍을 계승하는 저술이면서, 또한 15세기 이래 육지중심의 경제관념으로 소외되던 바다가 19세기 에 와서 실학자들에 의해 利用과 厚生을 위한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목차

요약
1. 머리말
2. 『신증동국여지승람』의 해양생물
3. 『자산어보』의 체제와 성격
4.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동전 Kim, Dong-Jeon.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교수
  • 백종진 Baek, Jong-Jin. 제주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과정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