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대학생의 삶의 의미 추구, 영적 안녕과 우울 간의 관계

원문정보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for Meaning,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조설애, 주미정, 정영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arch for meaning, spiritual well-being and depression in Korean college students. 220 college students were participated in survey included meaning in life questionnaire, center of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 and spiritual well-being scale.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examined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process that search for meaning influence to depression. The results were followed. Correlational analysis showed that search for meaning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religious well-being, existential well-being and depression. Also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arch for meaning had effects to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positively. The religious well-being had positive effect on depression, otherwise existential well-being had negative effect on depression. Also search for meaning significantly influenced on depression mediated by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only. In addition, existential well-being had bigger indirect effect than religious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search for mean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epression though spiritual well-being. Indeed religious well-being and existential well-being had the counter effects on depression. Therefore this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build the strategies in focus on existential well-being to reduce the depression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한국어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추구와 영적 안녕 및 우울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의미 추구가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영적 안녕의 하위 요인인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대학생 225명을 대상으로 삶의 의미 척도, 우울 척도, 영적 안녕 척도를 사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구조 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요인 간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대학생의 의미 추구는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적 안녕은 우울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실존적 안녕은 우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미 추구는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을 매개로 우울에 영향을 미쳤다. 종교적 안녕과 실존적 안녕의 매개 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실존적 안녕의 매개 효과가 종교적 안녕보다 유의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들이 의미추구를 할 때 종교적 안녕을 거쳐 우울을 높이는 반면, 실존적 안녕을 거쳐서는 우울을 낮추며 이 효과는 종교적 안녕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의미 추구가 긍정적 효과를 내는 매개 요인으로 영적 안녕을 살펴보았다는 의의가 있다. 또한 종교적 안녕과 영적 안녕이 우울에 각기 다른 방향으로 영향을 주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대학생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단순히 대학생의 의미 추구를 독려하는 것 뿐 아니라, 대학생의 실존적 안녕을 높일 수 있는 대안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정보

  • 조설애 Jo Seolae.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BK21 사업단 박사후 연구원
  • 주미정 Joo Mijung. 한국교통안전공단 매니저
  • 정영숙 Chong Youngsook. 부산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9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